"대상자만 5만 명인데…부산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 0곳"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보훈대상자 규모 전국 세 번째
하지만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 전무
"부산도 종합병원급 위탁병원 지정 필요"

지난 14일 부산 남구 BIFC 캠코마루에서 2024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렸다. 이헌승 의원이 질의하는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 14일 부산 남구 BIFC 캠코마루에서 2024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렸다. 이헌승 의원이 질의하는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전국 시·도 중 세 번째로 보훈대상자가 많은 부산에 정작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6만 명가량의 보훈대상자와 유족이 있음에도 보훈 의료서비스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돼, 부산시에 종합병원급 위탁병원 또는 병원급 의료시설이 추가 지정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이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시에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전국 세 번째 규모의 보훈대상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부산에 보훈대상자 본인(3만 8884명)과 유족(2만 561명)을 포함해 5만 9445명이 있으며, 이는 서울과 경기 다음으로 많은 수준이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이 보훈대상자가 가장 많다. 전국 83만 명에 달하는 보훈대상자의 7%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하지만 정작 부산에는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이 없다. 보훈부가 제출한 ‘전국 시·도별 위탁병원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경기도와 서울시는 각각 21곳, 1곳의 종합병원급 위탁병원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훈대상자 거주자 전국 4위인 경상남도에만 8곳이 있고, 전국 5위엔 경상북도에 9곳의 종합병원급 위탁병원이 운영 중이다. 부산만 전무한 셈이다.

여기에 부산시 기초 지자체 차원의 병원급 의료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부산시 병원급 의료시설은 8곳으로, 부산 구·군이 16개인 점을 고려하면 지자체 평균 0.5개로 부족한 상황이다.

부산에 의원급 의료시설은 41곳이지만, 평균 연령 73세인 국가유공자의 의료 수요를 고려했을 때 안과는 2곳, 치과는 4곳에 불과해 의료 서비스 불균형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부산에도 종합병원급 보훈위탁병원을 추가 지정하고, 국가유공자 의료 수요에 대응할 제도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헌승 의원은 “부산시 보훈대상자들의 의료수요가 높은 만큼, 부산시에도 종합병원급 위탁병원 내지는 병원급 의료시설이 추가 지정될 필요가 있다”라며 “보훈부에서는 보훈의료기관을 실질적이고 편리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