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젊어진 후쿠오카의 교훈

김승일 논설위원 dojun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초고령화, 저출생, 청년 유출과 수도권 일극화, 그 결과 지방소멸의 악순환. 아이 울음 그친 곳에 노인만 늘어나는 일본은 한국의 반면교사다. 일본 인구는 2010년 정점을 찍은 이래 13년째 감소세다. 올해 65세 이상 비율도 역대 최고인 29.1%다. 하지만 지방 중 후쿠오카만 추세를 역행하는 ‘회춘’과 인구 증가로 주목된다.

올해 후쿠오카시 인구는 164만 1571명. 2014년 144만 4783명 대비 13.6% 늘었다. 170만 명을 돌파해 전국 7위에서 6위에 오르는 건 시간문제다. 성장의 비결은 청년 인구 증가다. 15~29세 비율은 17.6%인데, 이는 도쿄 도심 23구(16.9%)와 오사카시(16.5%)까지 제친 명실상부 전국 1위다. 대학 진학과 취·창업을 위한 내외국인 ‘젊은 피’ 유입 덕분이다. 평균 연령은 2007년 40.8세에서 2023년 44.4세로 올랐지만 노인 인구 증가세를 감안하면 되레 한참 젊어진 셈이다.

후쿠오카는 천지개벽 중이다. 규제를 풀어 원도심을 획기적으로 재개발하는 ‘텐진 빅뱅’, 하카타역 재개발 사업 ‘하카타 커넥티드’로 첨단 상업시설이 들어서고, 국내외 유망 기업이 속속 들어오고 있다. 특히 도심 폐초등학교를 창업의 산실로 만든 ‘후쿠오카 그로스 넥스트’(Growth Next)는 스타트업 성지로 약동한다.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7월 25일 ‘지난해 62개 사가 후쿠오카에 진출했고, 지난 10년 사이 1만 8000개 일자리가 창출됐다’고 분석했다. 지방소멸 중인 나라에서 후쿠오카만 활력이 넘치는 기현상 이면에는 살기 좋고, 또 살고 싶은 도시의 매력이 있다. 문턱 낮은 주거비와 육아, 교육, 의료, 교통 서비스가 사람을 끌어 모은다.

부산은 2007년 후쿠오카와 자매결연했다. 두 도시의 언론, 대학, 기업, 기관은 2006년 도시 발전 전략을 공동 모색하기 위해 ‘부산-후쿠오카 포럼’을 발족했다. 17회 포럼이 지난 18~19일 부산에서 열렸다. 두 도시의 전략은 닮았다. 첨단 인프라 기반 위에 창업하기 좋은 도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행복 도시, 안전한 문화관광 도시…. 하지만 부산은 결연 당시 353만 8031명 인구가 올해 326만 4616명으로 주저앉았다. 매년 청년 1만 명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저출생·고령화가 겹친 탓이다. 급기야 특별·광역시 중 최초로 ‘소멸 단계’에 진입한 건 무참한 대목이다.

글로벌 허브도시는 ‘노인과 바다’가 아니다. 후쿠오카의 성공이 부산의 미래가 되기를 바란다면 젊어진 후쿠오카에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

김승일 논설위원 dojune@busan.com


김승일 논설위원 dojun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