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12개월 연속 ‘내수 부진’ 진단
건설경기 위축 내수 회복 발목
ICT 품목 중심 수출 흐름 양호
현재 우리 경제는 상품소비 감소가 이어지고 건설투자 부진이 계속되면서 내수회복이 더디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경제동향 11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 품목을 중심으로 양호한 수출 흐름이 유지되고 있으나 건설투자의 부진이 지속되며 내수 회복이 제약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KDI의 내수 둔화 또는 부진 판단은 지난해 12월부터 1년째 계속되고 있다.
먼저 수출은 증가폭이 기저효과 등으로 축소됐으나 ICT 품목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재고율이 하락하고 평균가동률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
KDI는 “그러나 설비투자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상품소비와 건설투자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상품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지난 9월 지난해 동기보다 2.2% 감소하면서 8월(-1.3%)보다 감소 폭이 더 확대됐다. 승용차(2.1%)는 증가했으나 음식료품(-6.1%) 의복(-2.3%) 화장품(-10.2%) 등 대부분 품목에서 감소세가 지속됐다.
9월의 서비스 생산은 0.2% 줄었다. 숙박·음식점업(-3.0%)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2.5%) 교육(-1.0%) 등 소비와 밀접한 서비스업에서 감소하거나 증가세가 둔화됐다.
그러나 반도체 설비투자는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며 수출 호조세의 영향이 내수 경기에 점차 반영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건설경기는 위축된 모습이다. 9월 건설기성(현장에서 실제 시공된 금액)은 9월에 12.1% 감소하면서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KDI는 “건설 관련 선행지표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는 점에서 당분간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