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들 “순식간에 끝난 대통령 담화, 진심 못 느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구체적이지 않은 사과에 실망
퇴진 여부 등 향후 계획도 없어”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7일 오전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시외버스터미널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7일 오전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시외버스터미널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속보] 윤 대통령 대국민 담화 "2차 계엄 없을 것"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를 사과했지만, 부산 시민들은 진심이 느껴지지 않는 사과였다는 반응을 보였다.

7일 부산 시민들은 <부산일보> 취재진에게 담화에서 대통령의 진심은 없었다고 전했다. 자세한 설명 없이 짧게 끝난 대국민 담화에 실망했다는 입장이다. 성 모(59) 씨는 “사과를 하려면 자신이 어떻게 해서 계엄을 하게 됐고 뭐가 잘못됐는지 설명이 있어야 하는데 무조건 잘못했다고 하며 인사를 꾸벅 하고 끝났다”며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 퇴진할 것인지에 대한 얘기도 없이 당에 맡긴다고 하니 명확하지 않은 사과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모(28) 씨 역시 “대국민 담화 중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라이브 영상을 틀었는데 20초짜리 사과만 반복됐다”며 “책임을 통감하고 저희 당과 함께 소통하겠다고 하는데, 야당과도 소통하며 국회 전체의 의견을 수용하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아스러움을 드러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시민들은 의아함을 드러냈다. 김정연(27) 씨는 “절박한 심정에 계엄을 했다고 하는데 현재 국민들의 심정이 더 절박하다”며 “너무 늦은 사과인데 이제와서 어떻게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것인가. 더 이상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모(41) 씨 역시 “사과나 반성보다는 자신이 절박했다는 얘기만 해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았고 불안감이 가시지 않는다”면서 “당에 일임한다고 하는 얘기를 들으며 대국민 담화라기보다 대국민의힘 담화라는 생각이 들어 실망스러웠다”고 말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