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뇌부 줄줄이 수사 받는 경찰, 지휘 공백 우려
경찰청장·서울청장 등 잇따라 수사선상
부산청장 등 자리 이동 예측까지 ‘솔솔’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가 줄줄이 ‘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선상에 오르면서 지휘 라인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들이 비상 계엄 선포 직후 국회 봉쇄에 경력을 투입한 혐의로 고발되면서 실질적 지휘가 가능할 것이냐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김 서울청장의 경우 대규모 집회 관리를 맡아야 한다.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지난 6일 조 청장과 김 서울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등 4명의 휴대전화를 임의 제출 형식으로 압수했고 현재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을 벌이고 있다. 조 청장 통화내역에서는 비상계엄 당일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주요 정치인들의 위치 확인을 요청한 사실이 포착된 바 있다. 김 경기남부청장의 경우 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경찰 출동을 지시해 휴대전화 압수 대상에 올랐다.
동시에 경찰 지도부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과 부산을 비롯한 전국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집회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치안도 불안 요소다. 일각에서는 김수환 부산지방경찰청장 등의 자리 이동을 조심스레 예측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 최고위직 인사권자는 대통령이어서 대통령 결재가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총리나 당대표 차원에서 인사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서울 이태원 참사 당시 김광호 청장도 기소되기 전까지는 계속 직을 유지하며 권한과 책임을 가졌던 만큼 지금도 수뇌부의 권한과 책임은 유지되는 상태”라고 말했다. 경찰 고위직 인사제청권을 가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마저 8일 사임한 상황이다.
경찰 수뇌부의 경우 현재 보직을 맡고 있어 직을 그만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달리 긴급체포 등도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경찰 관계자는 “다들 처음 겪어보는 사태를 맞아 어수선하고 또 각 시도청으로 관련 지침이 내려온 건 아니지만 집회 관리의 경우 법과 원칙이라는 기준을 준수하면서 최대한 시민 자율을 보장해 주자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