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장’된 가상자산 시장 800만 투자자 시대 코앞

이정훈 기자 leejnghu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금투세 폐지·가상자산 과세 유예법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금투세 폐지·가상자산 과세 유예법안이 통과되고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 랠리’로 3년 만에 가상자산 시장이 불장을 되찾자, 가상자산 실명계좌도 800만 개 돌파를 앞두고 있다. ‘뜨거운 감자’였던 가상자산 과세도 정치권이 2년 유예로 결정하면서 코인 투자자들이 지속 유입될 전망이다.

10일 금융감독원 가상자산 거래소 예치금 계좌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5대 거래소의 은행 실명인증 예치금 계좌 수는 778만 4000개로, 전년 말 대비 약 8% 증가했다.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고객이 원화로 코인을 거래하기 위해선 가상자산거래소는 제도권 은행과 실명 계좌 제휴를 맺어야 한다.

연도별 실명계좌는 2021년 815만 1000개로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하락장을 보이며 2022년에 760만 4000개, 2023년 721만 6000개로 점차 줄어들었다. 올해 가상자산 계좌가 급증한 배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효과다.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정책을 예고한 트럼프 당선인의 효과로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55조 3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7% 급증한 수준이다.

특히 내년 초부터 가상자산 과세 시행을 예고한 더불어민주당이 2년 유예로 입장을 선회한 점도 가상자산 시장에 호재로 꼽힌다. 이날 여야는 본회의에서 가상자산 과세 유예 등을 담은 세법을 통과했다. 가상자산 투자자도 과세 유예 결정에 반기는 분위기다. 가상자산 과세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거센 반대를 보였다. 지난달 20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는 '2025년 1월 1일 코인 과세 유예 요청에 관한 청원'이란 제목의 글이 게시된 바 있다.


이정훈 기자 leejnghu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