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윤 리스크’ 위기의 지역 상공계, 향후 파장 촉각
불확실성 해소 조짐에 안도감
정치적 혼란 지속 가능성 우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 조짐을 보이자 ‘트럼프 리스크’에 ‘윤석열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위기에 몰렸던 기업들은 국면 전환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안 심사까지 시일이 걸리는 만큼 향후 파장에도 촉각을 세운다.
15일 지역 상공계에 따르면 탄핵안 가결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업들은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두 번째 탄핵안이 부결되면 탄핵안이 가결될 때까지 야당의 탄핵 시도가 이어지면서 정세 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컸기 때문이다.
대기업 1차 협력사 위주인 지역 상공계 특성상 당장 피해 규모가 크지 않다 하더라도 글로벌 기업 등 고객사 확대를 위해 해외 현지 투자를 늘린 지역 기업이 상당수여서 고환율로 인한 투자 비용·외화 부채 증가를 우려하는 상황이었다. 한 상공인은 “당장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계엄 선포가 경제에 미친 충격은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나 클 수밖에 없다”며 “조속한 결단으로 대내외 신뢰도 추락을 막고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길이 열려 그나마 다행”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탄핵 가결로 대통령 권한 행사가 정지됐다고 하더라도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안 심사까지 시일이 걸리는 만큼 정치적 혼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여전하다. 지역 상공계는 정치적 혼란 지속으로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기업 리스크도 덩달아 높아질 가능성을 우려한다. 또다른 상공인은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공급 안정성에 대한 질문을 받는 기업이 제법 많은 것으로 안다”며 “기업에 따라선 정치 불안 장기화로 해외 거래처를 잃을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부산상의는 환율 변동에 따른 지역 기업의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환율 모니터링에 들어갔다. 원스톱기업지원센터 등을 중심으로 기업 애로 사항을 청취하고 관련 지원 방안 마련에도 적극 나선다. 부산상의는 “내수 부진에 글로벌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기업들이 경기 및 수출 여건 악화를 우려한다”며 “지역 상공계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발맞춰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