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시, 지역 거점 항공사 문제 컨트롤타워 역할해야
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에어' 설립 제안
시, 시민 목소리 반영한 대안 마련하길
2029년 말 가덕신공항 개항을 앞두고 부산시민이 지역 거점 항공사 육성을 바라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를 자회사로 인수하면서 에어부산 등 통합이 예상되는 양사 산하 LCC(저비용항공사)의 부산 유치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시정 평가·대안 특별위원회는 23일 내년 초까지 부산시, 대한항공, 국토부와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민들과 함께 가칭 ‘부산에어’를 설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는 부산시가 지역 거점 항공사 확보에 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반증이 아닐 수 없다. 오죽 답답했으면 정치권에서 이런 제안까지 했겠는가.
민주당이 제시한 부산에어 설립 로드맵은 2025년 설립을 시작으로 2026년 운항 면허 인가 신청, 2027년 국토부 운항 면허 승인과 운항증명 취득 후 항공기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특위위원장인 최인호 전 민주당 의원은 “현실적으로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와 에어부산 분리 매각이 어려워져 거점 항공사 없이 가덕신공항이 개항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가덕신공항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거점 항공사 설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제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따져봐야 하겠지만 이는 차후의 문제다. 부산시가 지역 거점 항공사 문제에 대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아쉽다.
가덕신공항이 개항하더라도 거점 항공사가 없다면 그 공항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이는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LCC 통합 본사를 인천 등 수도권에 두게 되면 부산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항공산업 중심지로서의 기회를 잃게 되고, 이로 인해 지역 경제, 인력, 관광산업 등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야 부산시와 지역 시민단체는 가덕신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별도의 독립법인 운영을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시는 이러한 방안을 가지고 시민과 함께 지역 거점 항공사 설립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거점 항공사 확보는 가덕신공항 조기 안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다. 가덕신공항 개항을 앞두고 부산시가 지역 경제와 항공산업의 발전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이유다. 특히 부산시가 통합 LCC 본사 유치와 에어부산의 분리 매각에 소극적이던 자세를 바꿔 거점 항공사 설립 만큼은 주도적으로 구체적인 계획과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 이와 함께 거점 항공사 설립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하며,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지역 거점 항공사 문제 해결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게 시가 할 일이다. 더 이상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지 말고, 부산 발전의 비전을 가지고 문제 해결에 나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