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사회통합돌봄 통해 AIP 구축 의지… 여전히 산발적 전개" ['초고령'지혜, 부산서 찾는다]
부산가톨릭대 한정원 교수 인터뷰
재정 확충·제도 통합 등 개선 필요
노화 대한 사회적 인식 성숙 중요
“초고령사회에서는 ‘누구나 늙는다, 누구나 노화에 따른 장애를 갖는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산가톨릭대학교 한정원(사진) 미래설계융합학과 교수는 초고령사회에서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성숙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화를 타인이 아닌 나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노인은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중 하나라는 의식을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의식이 퍼져 있으면 노인을 사회와 분리하는 대규모 요양시설을 만들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함께 늙어갈 수 있는 AIP(Aging In Place) 기반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 실버타운 등이 대규모로 운영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서구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지역사회기반의 AIP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며 “개인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서라도 AIP 인프라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현재 정부가 지역사회통합돌봄제도를 도입해 AIP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복지·보건·의료·돌봄·교통 등의 분야에서 돌봄제도가 여전히 산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노인들이 병원·시설에서 지내야 하는 상황이 많고, 불충분한 재가 서비스로 인해 가족에게 돌봄은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후 관련 재정 확대와 소득에 따른 차등 지원, 지역 사회의 관련 제도 통합, 개인맞춤형 서비스 확대 등을 제안했다.
한 교수는 지자체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지역 내 수요 조사 등을 통해 지역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공공기관과 민간의 협력체계 구축 등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의 경우 산지와 고지대 거주 고령자의 이동성, 동서격차를 감안한 AIP 인프라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송지연 기자 sj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