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나가는 트럼프, 파나마 운하·그린란드 ‘군침’
사용료 인하 않으면 운하 반환
그린란드 미국 편입·독립 지원
2기 출범 앞두고 파격 인터뷰
“군사적 사용 배제 안 해 ” 엄포
파나마 운하와 덴마크령 그린란드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이들의 문제와 관련해 군사력 사용 옵션을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7일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의 저택에서 대선 승리 후 두번째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관심을 피력한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또는 경제적 강압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두 사안 어떤 것에 대해서도 나는 확언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가 미국의 경제안보와 국가안보 등에서 중요하다며 “나는 그것(경제 또는 군사적 강압수단 사용 배제)을 약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특히 그린란드 주민들이 독립 및 미국으로의 편입을 투표로 결정하는 경우 덴마크가 그것을 방해하면 매우 높은 관세를 덴마크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트럼프 당선인은 파나마 운하 사용료 인하를 요구하며 파나마에 운하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덴마크령인 그린란드에 대해서는 돈을 주고 매입할 의사가 있다고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파나마가 미국에 과도한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는 주장을 반복하면서 “그들은 운하 보수를 위해 (미국이) 30억 달러(한화 4조 3000억 원)를 지원해줄 것을 원한다”며 “그래서 나는 ‘그 돈을 중국에게서 받아가지 그러냐’고 했다”고 말했다.
1977년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오마르 토리호스 전 파나마 대통령은 미국 정부 손에 있던 운하 관리권을 파나마 정부에 완전히 넘기는 것을 골자로 한 이른바 '토리호스-카터 조약'을 1977년 체결한 바 있다. 파나마 운하를 건설해 1914년부터 운영해오던 미국은 1999년 12월 31일 정오를 기해 파나마에 운하 통제권을 완전히 넘겼다. 수십년간 운하에 주둔해 있던 미군도 철수했다.
이날 파나마 외무부는 성명을 내고 "우리 운하의 주권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며, 우리 투쟁의 역사이자 돌이킬 수 없는 획득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덴마크 정부 역시 같은 날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매입하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주장에 "판매 대상이 아니다"라고 거부 의사를 명확히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현지 방송에 출연해 "덴마크 정부 관점에서 그린란드는 그린란드인들의 것이라는 점을 아주 명확히 하겠다"며 "그린란드 총리가 이미 말했듯 판매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22일 2기 행정부에서 덴마크령 그린란드 매입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시사했고, 덴마크측은 2주 만에 공식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그러나 공교롭게 이날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이 그린란드를 방문했다. 트럼프 주니어는 '개인 관광차' 방문이라고 했지만, 트럼프 당선인이 매입 의사를 노골화하는 가운데 이뤄져 정치적 함의가 작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