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자체, 자연재해 안전도 ‘희비’
동·서·부산진구 상위권 A등급
수영 E, 해운대·강서구 D등급
부산 기초지자체가 자연재해 안전도를 진단하는 평가에서 엇갈린 결과를 받아들었다. 수영구는 부산에서 유일하게 E등급을 받았는데 행정안전부 안전도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한 결과라고 해명했다.
5일 행정안전부 ‘2024년 자연재해 안전도 진단’ 결과에 따르면 부산 동구·서구·부산진구가 상위 15% 안에 속하는 A등급을 받았다. 서구청은 “암남동 재해 예방 사업, 자연재해 위험 개선 지구 추진 등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했다. 부산진구청은 “우기에 대비해 시설물 관리를 철저히 했다”고 밝혔고, 동구청은 “각종 재난에 대비한 모의 훈련을 하고 종합 계획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자연재해 안전도 진단은 행정안전부가 전국 228개 지자체에 매년 실시하는 평가다. 위험 요인, 재난 관리, 시설 관리 등 3개 분야 33개 지표를 활용해 A~E등급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기준 강서구·사하구·해운대구는 하위 15~35%인 D등급에 분류됐다. 강서구청은 “재난 취약 지역 예보 시설 설치 등으로 E등급을 받은 전년보단 점수를 높였다”고 밝혔다. 사하구청은 “소하천과 저수지 분야 진단이 점수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했다. 해운대구청은 “재해 예방, 소하천 정비 사업 추진이 다소 부족했다”고 말했다.
수영구는 부산에서 유일하게 하위 15%에 속하는 E등급을 받았다. 수영구청은 “담당자 질병 휴직 이후 자료 취합과 데이터 등록을 챙기지 못했다”고 밝혔다. B등급은 기장군과 남·동래·사상·영도구 등 5곳이, C등급은 금정·북·중구 등 3곳이다.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