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부산시, 데이터 유출 논란 ‘딥시크’ 차단
안보·경제·사회 등 범정부 확산
활용 과정에서 정보 유출 우려
금융권·증권가도 접속 차단 동참
정부 부처와 부산시가 데이터 유출·개인정보 수집 논란이 불거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서비스의 접속을 대거 전면 차단하고 나섰다.
6일 정부 관계부처 및 기관에 따르면,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찰청이 딥시크의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전날에는 외교·국방·산업통상자원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했다. 딥시크 차단 조치가 안보·경제부처는 물론 사회부처까지 범정부 차원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등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발송했다.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개인정보 등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과기정통부는 6일 내부 공지를 통해 최근 출시된 딥시크 R1에 대해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정보통신망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 23곳을 비롯한 공공기관에도 생성형 AI 활용 시 보안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도 산하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과 함께 이날부터 업무 시 외부 인터넷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한다.
해수부는 이날 오후 2시부로 외부인터넷망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해수부는 딥시크 접속 차단에 앞서 생성형 AI에 대한 보안 유의사항을 공문으로 발송했으며, 전직원에게 공지했다. 환경부와 복지부도 이날 오전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다만, 오픈AI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접속은 막지 않았다.
부산시도 이날 오후 3시 15분 이후 업무형 컴퓨터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도록 시스템을 변경했다. 접속 차단 대상 앱은 '딥시크'이며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접근은 막지 않았다. 시는 같은 정보고속도로망을 사용하는 16개 구·군과 사업소 등의 딥시크 접근도 막았다.
반면, 교육부는 딥시크 차단 조치를 할 경우 일선 학교 현장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차단은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행안부도 소속 공무원 등에게 사용 시 유의를 당부하고 있으나, 접속 차단은 아직 고려치 않고 있다.
한편, 금융권과 증권가도 보안 우려 등을 이유로 딥시크 차단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공공 금융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지난 4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막았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와 케이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 내부 보안 조치를 실시했다. 금융투자협회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지난달 말 교보증권을 시작으로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하나증권, IBK투자증권, LS증권이 딥시크 접속을 막은 것으로 확인됐고, 이달 들어 키움증권, 다올투자증권, iM증권, 메리츠증권 등이 해당 조치에 동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