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한 달… 관세부터 안보질서까지 전 세계 ‘충격’
연쇄 관세폭탄에 보복조치 대응
‘전면전’ 부담에 물밑협상 모색
가자구상·우크라전 종전협상 등
안보질서 급변에 합종연횡 활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지난 한 달간 국제사회는 ‘트럼프발’ 충격에 휩싸였다. 트럼프 집권 1기 때를 상기하며 그의 복귀에 나름대로 대비를 해왔지만 ‘미 우선주의’는 1기 때보다 훨씬 더 강력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타깃이 된 곳은 캐나다와 멕시코 등 북중미의 이웃 국가들, 그리고 ‘패권 경쟁’ 상대방 중국이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보복에 나서면서도 물밑으로는 미국의 진의를 파악하고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 문제와 마약 유입, 불합리한 교역 조건 등을 빌미로 지난 2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똑같이 미국산 제품들에 대해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반발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를 거쳐 두 나라에 대한 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한 달 유예했다. 물밑 접촉을 거쳐 국경 단속 강화 등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카드를 내줌으로써 일단 확전을 피한 것이다. 이들에 앞서 콜롬비아도 불법 이민자의 본국 송환을 받아들이고 관세 부과를 보류 받았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관세에 맞서 10일부터 보복 관세를 발효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 관세보다 범위는 좁지만 석탄·가스·석유 등 ‘표적’에 집중한 관세 인상과 미국의 의존도가 높은 전략 광물 수출 통제, 미국 기업 대상 반독점법 조사 등 반격 옵션을 다양화했다.
다만 중국도 경제 회복에 어려움을 겪어온 터라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부담스러운 건 마찬가지다. 이에 중국 역시 관세 인상 장기화에 대비하면서도 관영매체들을 통해 미·중 대화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거듭 발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4월부터 국가별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와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해서도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오는 4월 2일께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 사실상 전 세계가 ‘트럼프 폭풍’의 영향권에 든 것이다.
특히 일국 단위가 아닌 유럽연합(EU)과 미국 사이의 무역전쟁 발발 가능성이 부상하면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EU 역시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면서도 물밑으로는 미국을 설득하기 위해 분주하다.
다만 EU 회원국 일각에서는 관세 전쟁의 장기화에 대비해 중국 등과 연대를 통해 공동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과의 힘겨루기를 시작한 중국 역시 외교 무대에서 서방과의 접촉면을 늘리고 있어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안보 질서에까지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합종연횡 움직임은 앞으로도 활발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우크라이나전 이후 재건 및 평화유지 책임 등을 떠맡을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자체적인 방위 강화와 유럽 내 비EU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등을 논의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주민을 외국으로 이주시키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 구상’에 충격을 받은 아랍권 국가들도 아랍정상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지난달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중동 ‘저항의 축’의 중심인 이란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했다. 또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상 회담을 하고 서로를 전승절 행사에 초청하는 등 반서방 국가들의 밀착 행보도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