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관계기관·기업 ‘부산형 부산특구’ 위한 업무협약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8일 에코델타시티 일원 체결
조성 예정지서 현장 브리핑도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 주력”

에코델타시티·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에코델타시티·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정부가 상반기 중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에너지특구)을 선정할 방침에 따라 부산시가 부산형 분산특구 지정을 위해 지역 기업·유관 기관과 적극적인 협력에 나선다.

부산시는 18일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일원에서 강서구·한국수자원공사·(주)한국남부발전·부산도시가스(주)·부산정관에너지(주)·부산그린산단(주)·(주)누리플렉스·부산테크노파크 등과 함께 ‘부산형 분산특구 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추진 중인 분산에너지특구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상대적으로 설비 용량 규모가 작은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 사용자에게 직접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구역으로, 시는 ‘공급 자원 유치형’을 택해 경쟁 지자체인 제주·울산 등과 차별화했다. 특구 지정으로 특례가 적용되면 보다 저렴하게 전기를 쓸 수 있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반도체, 이차전지 등 전력 수요가 많은 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협약에 앞서 한국남부발전은 현장 브리핑을 통해 신강서변전소 일원에 조성 예정인 에코델타시티 열병합발전소 관련 계획을 설명한다. 조성 예정지에 대한 용도변경과 중앙부처 협의 등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관련 기관들이 협약을 통해 적극적으로 상호협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단계가 완료된 명지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현장 브리핑은 부산도시가스가 맡는다. 2단계는 내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며, 올해 입찰이 선정되면 2027년 3단계 공사가 진행된다. 3단계에 걸쳐 마련되는 시설 규모는 총 30MW다. 뒤이어 시는 부산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추진 현황을 보고한다.

협약 참여 기업들은 업무 협약을 통해 분산에너지 사업 모델 구축·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시 등 지자체와 유관기관은 분산에너지특구 지정 계획 수립은 물론 공급자원 유인형 규제 특례 적용 등을 위한 행정적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부산은 에코델타시티를 중심으로 한 자급자족 미래형 도시 구축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협약을 토대로 다른 지자체와의 차별화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