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진~부산역 경부선 지하화, 나머지도 지하화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 부산 구간 2.8㎞ 선도 사업에 선정
시민 고통 해소·원도심 구조 개선 계기로

부산의 오랜 숙원인 도심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중 부산진~부산역 구간이 19일 국토교통부 주관의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선도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부산진역~부산역 사이 철길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의 오랜 숙원인 도심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중 부산진~부산역 구간이 19일 국토교통부 주관의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선도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부산진역~부산역 사이 철길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의 오랜 숙원인 도심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중 부산진~부산역 구간이 19일 국토교통부 주관의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선도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의 이번 발표는 수도권이 아닌 지역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경인선을 제외한 부산 등 전국 3곳을 최종 사업지로 선정했다는 데 매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선도 사업에 선정된 부산의 도심 경부선 구간은 부산진~부산역 2.8㎞로, 부산 원도심과 북항 재개발 사업 지역과도 중첩돼 원활하게 진행된다면 강력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부산 숙원 해결의 중요한 계기가 마련된 만큼 후속 계획에 빈틈이 없어야 하겠다.

정부 선도 사업에 선정된 부산의 도심 경부선 2.8㎞는 당초 시가 제안했던 11.7㎞에서 구포~가야 차량기지 8.7㎞가 제외된 것이다. 전체 제안 구간의 4분의 1에 불과해 다소 실망스럽게 여길 수도 있겠으나 정부가 우선 추진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핵심 구간임을 감안하면 누락된 구간에 대한 추가 사업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오랜 숙원인 도심 철도 지하화 사업이 정부의 공식 종합계획에 포함됐다는 점이 중요하다. 부산시도 후속 조치로 2026년까지 통합개발 기본계획 용역을 포함해 의견 수렴 등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하니 이번만은 도심 구조 개선의 획기적인 기회를 반드시 살려야 한다.

부산시민이 도심 철도 지하화에 이처럼 진심인 이유는 오래전부터 익히 알려진 바다. 시내를 가르는 경부선 철도로 인해 도심 생활권은 단절됐고, 시민의 소음·분진 고통은 일상이 된 지 이미 오래다. 더는 새로울 것도 없는 내용이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부산시민의 오랜 불편과 고통을 완화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선도 사업의 효과는 여기에만 그치지 않는다. 정부의 배경 설명처럼 무엇보다 지역 건설업계의 기대가 매우 크다. 사업 구간인 2.8㎞ 상부를 덱으로 덮어 개발하고,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과 철도 부지를 이전하는 데 드는 사업비만 1조 4000억 원이다. 지역 업계로서는 가뭄에 단비가 아닐 수 없다.

도심 철도 지하화 사업이 부산에서 갖는 의미는 도시 전 분야에 걸쳐 있을 정도로 매우 광범위하고도 깊다. 작게는 시민의 일상생활에서부터 크게는 120년간 이어져온 부산 원도심 구조의 획기적인 개선과 직결돼 있는 과업이다. 부산시로서는 더없이 좋은 기회를 맞이한 만큼 이에 걸맞은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우선은 2.8㎞ 구간의 성공적인 사업 진행이 중요하겠지만 최종적으로는 시가 제안한 나머지 구간까지 지하화가 이뤄져야 이 사업이 완결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도 사업의 착공 시기가 2030년대 초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하면 부산시도 서둘러 시민에게 확실한 완결 로드맵을 내놔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