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GB 해제 지역전략사업, 미래 먹거리 창출 마중물 돼야
부산 3곳,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를
생산 유발·고용 창출 등 실질 효과 내야
정부가 서울 여의도 면적의 15배에 달하는 비수도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국무회의에서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15곳을 선정하고 이에 맞춰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부산에서는 해운대 첨단사이언스파크, 강서구 제2에코델타시티, 동북아 물류 플랫폼 사업 등 3곳이 선정됐다. 이에 해운대구 53사단 일원과 강서구 강동·송정·녹산동 일대 1700만㎡(약 500만 평)가량의 그린벨트를 해제할 수 있게 됐다. 2008년 부산에서 1000만 평의 그린벨트가 해제된 이후 17년 만의 일이다. 이번 조치는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강서구의 제2에코델타시티는 특히 주목할 만한 사업이다. 기존의 에코델타시티와 유사하게 주거, 상업, 산업이 복합적으로 결합한 친수형 수변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제2에코델타시티는 주거, 상업, 산업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혁신적인 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사업들은 지역 경제에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고 고용을 촉진하는 핵심적인 축이 될 것이다. 부산은 3곳의 사업을 통해 경제적 도약을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이한 셈이다. 이에 그린벨트 해제와 관련된 지역의 사업이 단기적인 개발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 장기적으로 부산 경제의 구조적 발전을 도모할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부산은 이번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산업단지와 물류단지, 첨단 연구개발시설 등을 구축할 기회를 맞이했다. 정부의 이 같은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 부산시와 지역 상공계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시는 “이번 선정으로 부족했던 개발 가용부지를 확보해 혁신 산업 육성, 신성장 산업 유치 등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반기고 있다. 부산이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는 막대하다. 16조 원에 달하는 총사업비와 수십조 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역민의 고용 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역 경제 성장과 지역균형발전에 직접적인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부의 이번 그린벨트 해제는 지역 간 경제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더 나은 정주 환경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부산의 경우 산업단지와 물류 시설 등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면 해당 지역은 새로운 경제 중심지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이들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부산은 경제적 도약을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기회도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시는 이를 최대한 활용해 지역전략사업을 육성하고 경제적 자립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린벨트 해제는 부산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중요한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