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대학 지원체계 사업 평가, 부산시 ‘꼴찌’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RISE 사업 인센티브 35억 확보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 평가
“충분히 소통 않고 밀어붙인 탓”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시청 전경. 부산일보DB

2조 원 규모의 지역혁신대학 지원체계(RISE) 사업 종합계획 평가에서 부산시가 전국 광역시도 중 최하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제출한 RISE 사업 계획과 운영 체제가 교육부로부터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부산 지역 대학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육부와 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RISE 사업 5개년 사업서 평가’에서 인센티브로 35억 원을 확보했다. 이는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적은 금액으로, 부산은 △세종 △울산 △인천 △전북 △제주 △대구와 함께 최하위를 차지했다. 시는 RISE 체계(거버넌스) 영역에서 35억 원의 인센티브를 확보했고, RISE 계획 영역에서는 인센티브를 받지 못했다.

충남과 충북, 광주가 가장 많은 173억 7500만 원의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이어 △경남·경기 135억 원 △대전 123억 7500만 원 △서울·전남·강원·경북이 85억 원 순이었다.

시는 인센티브를 포함한 전체 RISE 사업 확정 예산에서는 1578억 8700만 원을 확보해 경북(2205억 8600만 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교육부는 부산시의 RISE 사업 계획서에 대해 RISE 프로젝트와 단위 과제 간 연계 구체성 부족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의 9대 전략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인력 수요·공급에 대한 정확한 진단 필요성, RISE 체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례·규정 제정 등 행정적 지원 강화 필요성도 평가에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대학들은 대학 연구 사업 예산을 총괄 관리하는 시와 부산라이즈혁신원이 대학들과 더욱 소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산 한 사립대학 총장은 “각 대학의 연구 예산에 큰 도움이 되는 인센티브가 적어 아쉬움이 크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대학 교수는 “시와 라이즈센터가 대학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계획과 정책을 밀어붙인 결과”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시 김귀옥 청년산학국장은 “시는 부산 지역 대학과 라운드 테이블, 사전 설명회 등을 10여 차례 열면서 대학의 목소리를 들었지만, 인센티브 배정 결과가 적어 아쉬움이 크다”고 밝혔다.

시는 27일 올해 RISE 사업 추진을 위한 본 공고를 시작으로 선정 절차를 거쳐 다음 달 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