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올해 성장률 목표 5% 안팎
재정적자율 GDP 4%로 확대
딥시크 돌풍 과학기술 예산 증액
중국 정부가 올해도 경제 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업무보고에 이 같은 내용의 성장 목표를 언급했다. 작년 중국의 경기 침체 속에 올해 들어 미국과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재작년, 작년과 같은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리 총리는 5% 안팎의 성장률 목표에 대해 “취업 안정과 리스크 방지, 민생 개선의 필요”라며 “중장기 발전 목표와 결합해 어려움을 뛰어넘고 분발하는 선명한 길잡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가율 목표를 2004년 이후 처음으로 3% 미만인 약 2%로 세웠다. 이는 20년 만에 가장 낮은 목표치를 내놓은 것으로, 중국 정부가 수요 둔화를 인정했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리 총리는 “수요·공급 관계를 개선하고 물가의 총 수준이 합리적 구간에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며 ‘내수’에 방점을 찍었다. 그러면서 “이런 목표들은 매우 어렵고 간고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올해 재정적자율을 국내총생산(GDP)의 4%로 확대했다. 적자 규모는 5조 6600억 위안(약 1130조 원)으로 한해 만에 1조 6000억 위안(약 320조 원) 늘어난다. 한층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실시해 재정 적자율을 높여 지출 강도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중국산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더욱 관심을 모은 중국의 올해 연구개발(R&D·과학기술) 예산은 전년 대비 10% 늘어난 3981억 1900만 위안(약 80조 원)으로 설정됐다.
중국의 올해 국방예산 증액 폭은 작년 대비 7.2%로 잡았다. 4년 연속 7%를 넘어선 것이다.
실업률 목표는 5.5%로 전년과 동일하게 설정했다. 신규 고용 역시 전년과 마찬가지로 1200만 명으로 잡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