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전투기 민가 오폭으로 15명 중경상… 조종사 실수였다
KF-16 2대, 한미연합 실사격 훈련중
MK-82 8발 비정상적 투하…15명 중경상
6일 경기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실시된 한미연합훈련 중 군 전투기 오폭 사고가 발생해 1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군 당국은 조종사의 표적 좌표 입력 실수로 오폭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공군에 따르면, 한미 통합화력 실사격훈련에 참가한 KF-16 2대에서 공대지 폭탄 MK-82 8발이 비정상적으로 투하됐다. 폭탄은 사격장 외부 민가 지역에 떨어졌다. 이날 오전 10시 5분께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일대에 떨어진 포탄으로 민간인과 군인 등 15명이 다쳤고, 10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소방 당국은 중상 2명, 경상 13명으로 분류했다. 사고 당시 인근에 있던 한 주민은 “갑자기 쾅 하는 소리와 함께 지반이 위아래로 흔들렸다”고 증언했다.
이날 훈련에 동원된 KF-16은 모두 5대로, 2개 편대로 구성됐다. 3대로 구성된 편대는 정상적으로 사격장에 폭탄을 투하했지만, 2대로 구성된 편대가 사격장에서 8km 떨어진 민가 지역에 각각 MK-82 4발씩을 잘못 떨어뜨렸다. MK-82 폭탄은 건물·교량 파괴 등에 사용되는 폭탄으로 직경 8m·깊이 2.4m의 폭파구를 만들며, 폭탄 1개의 살상 반경은 축구장 1개 정도의 크기이다. 탄은 무유도 방식으로 투하된다.
군 당국은 조종사의 표적 좌표 입력 실수로 오폭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공군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조종사가 비행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좌표를 입력한 것으로 조종사 진술 등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도 “지상에서든 공중에서든 좌표를 확인하는 절차가 있다.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실수한 것으로 현재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조종사는 비행 임무를 받은 뒤 출격에 앞서 특정 기기에 표적 좌표를 미리 입력해둔다. 이후 전투기에 탑승해 해당 기기를 전투기에 장착하면 미리 입력해둔 좌표가 전투기에 설정된다. 조종사는 이때 입력한 좌표가 정확한지 확인해야 하고, 공중에서도 좌표를 다시 확인해야 하며, 투하 후에도 육안으로 식별해야 한다. 3단계에 걸쳐 이뤄지는 이런 좌표 확인 과정은 모두 조종사가 단독으로 진행한다. 공군 관계자는 “(처음 주어진) 좌표가 잘못된 것은 아니고, 조종사가 입력을 잘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편대에 속한 다른 KF-16 조종사는 제대로 좌표를 입력했지만, 동시 투하 훈련이어서 좌표를 잘못 입력한 조종사를 따라 폭탄을 투하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