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 전문가 자문회의를 주목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표류 위기 속, 14일 해법 모색 위한 자리
실행 가능한 현실적 대안·추진 의지 필요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가덕신공항 건설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 2029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돼 온 국책 사업이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공기 연장 요구로 수의계약이 무산되면서 표류 위기에 놓인 것이다. 이는 단순한 계약 결렬이 아니라 가덕신공항이라는 국가전략사업의 추진력을 위협하는 중대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이 사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14일 각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를 연다. 회의에서는 공사 기간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재입찰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비록 때늦은 감은 있으나 분명한 것은 이 자리가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이라는 국가적 약속을 어떻게 실현할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자리가 돼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술적 견해 차이가 아니다. 이는 국가가 국민과 한 약속, 그리고 부산 시민이 20년 넘게 염원해 온 남부권 관문공항의 실현 여부를 가르는 신뢰의 문제다. 현대건설이 제출한 설계안은 기본계획과 달리 24개월의 추가 공기를 요구하며 사실상 사업 지연을 전제로 한 자기방어 논리에 가깝다. 계획 수립 당시 가능했던 일정을 시공 책임이 주어지자 스스로 뒤집은 셈이다. 이를 자문회의가 ‘기술적으로 타당하다’며 수용한다면, 이는 지역 여론과 시민을 기만하고 우롱하는 일이 된다. 유신 컨소시엄은 2029년 개항이 가능하다고 봤고, 정부도 이를 바탕으로 입찰 지침을 마련했다. 지금 와서 그 기준을 흔드는 건 정당성을 잃는 처사다.

자문회의의 핵심 쟁점은 두 가지다. 하나는 공사 기간 연장의 실질적 타당성에 대한 철저한 기술 검증이다. 해상공항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단일 민간 업체의 주장만으로 기존 국가 기본계획을 뒤집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다른 하나는 경쟁 입찰을 유도하면서도 일정 지연을 최소화할 실행 가능한 공정 전략 마련이다. 그 해법 중 하나로 설계와 시공을 병행해 공기를 단축하는 패스트트랙(Fast Track) 방식이 있다. 홍콩 첵랍콕공항, 일본 간사이공항 등 해외 사례처럼 가덕신공항 역시 케이슨 제작·설치, 연약지반 개량 등 선행 착공이 가능한 공정이 많다. 정부가 2029년 개항 의지를 밝힌 지금, 필요한 건 실행 가능한 현실적 대안과 이를 추진할 의지다.

가덕신공항은 지역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숙원 사업이다. 더 이상 좌초와 표류는 용납되지 않는다. 지금 필요한 것은 논란이 아니라 명확한 기준과 책임 있는 결정이다. 정부와 자문회의는 어떤 판단을 하든 그 정당성을 부산 시민 앞에서 납득 가능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검토의 자리가 되어선 안 된다는 얘기다. 경쟁입찰 유도를 위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재입찰이 일정 지연의 명분이 되어선 더더욱 안 된다. 아울러 이번 자문회의가 그저 책임 떠넘기기나 시간을 끄는 자리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부산 시민은 이 회의의 결론을 똑똑히 지켜볼 것이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이 사실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