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컹거리는 김문수의 중도 확장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석동현 이어 정호용 선대위 영입 취소
'빅텐트'는 고사하고 한동훈계 합류도 불투명
金, 계엄 사과하면서도 헌재엔 비판 목소리
尹 출당 조치 아닌 권고…어정쩡한 중도 확장 비판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사법부 수호 및 더불어민주당 규탄대회를 마치고 차량에 탑승해 이동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사법부 수호 및 더불어민주당 규탄대회를 마치고 차량에 탑승해 이동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6·3 대선을 앞두고 강성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를 영입한 데 이어 5.18 민주화운동 당시 특전사령관이었던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임명하면서 연일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출당 등 당적 정리도 공회전을 거듭하면서 김문수 후보의 ‘빅텐트’ 구상이 산으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중앙선거관리대책위원회는 전날 밤 공지를 통해 정 전 장관의 상임고문 위촉 취소 사실을 알렸다. 정 전 장관은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진압에 가담한 혐의로 1997년 대법원에서 징역 7년의 유죄 확정 판결을 받은 바 있다. 정 전 장관의 선대위 합류에 논란이 커지자 당이 위촉 5시간여 만에 위촉을 취소한 것이다.

선대위 영입 인사에 대한 논란은 이번만이 아니다. 앞서 당이 윤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 친구인 석동현 변호사를 영입하면서 한 차례 논란이 일었던 바 있다. 석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변호인단으로 활동했고, 지난 총선에서 전광훈 목사가 이끄는 자유통일당 비례대표로 출마한 바 있다. 석 변호사의 영입을 두고 당내 이견이 나오는 상황에서 정 전 장관 영입으로 또 한번 논란을 자초한 것이다. 국민의힘이 스스로 더불어민주당에게 공세 빌미를 제공한 꼴이다.

민주당은 즉각 입장을 내고 국민의힘 맹공에 나섰다. 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목전에 두고 광주 학살 책임자를 선대위 상임고문으로 영입하다니 김문수 후보는 제정신이냐”며 “윤석열 내란세력도 모자라 전두환 반란군까지 끌어안아 내란세력 총사령부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정 전 장관 영입 논란에 대해 이날 기자회견에서 “제가 명단을 취합하고 전달해서 선대위에 제출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검토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의 중도 확장에 제동을 거는 것은 인사 영입 문제만은 아니다. 윤 전 대통령의 당적 문제야말로 당의 중도 확장을 가로막는 대표적 걸림돌이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는 이날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을 권고하고 “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 당적 문제를 둘러싼 당 지도부의 첫 공식 입장인 셈이다. 다만 출당 조치나 제명 조치가 아닌 탈당 권고 수준이다. 김 후보도 “판단은 윤 전 대통령의 몫”이라며 당 차원의 일방 조치에 대해선 함구했다.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기다리는 것이다.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의 확실한 ‘절연’을 결단하지 못하면서 전통 보수층과 중도층 사이에서 헤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때문에 김 후보의 빅텐트 구상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김 후보의 애매한 자세가 3지대 합류를 막아서고,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와의 거리는 더욱 멀어지는 상황이다.

김 후보의 지지율도 정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2일부터 전날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49%, 김 후보는 27%, 개혁신당 이 후보는 7%를 기록했다.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어느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이 후보 당선을 전망한 응답이 68%, 김 후보 당선 전망은 19%였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7.6%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