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 차기 정부에 바라는 1위 ‘기업 이전과 일자리’ [부산일보 여론조사]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연합뉴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연합뉴스

부산 유권자들은 차기 정부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1순위로 ‘기업 이전 유도 및 일자리 창출’(52.7%)을 꼽았다. 대통령 선거 후보자들이 모두 부산 공약으로 기업 유치를 내건 만큼 공약 실천 여부에 따라 시민들의 차기 정부의 지지도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일보>가 여론조사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뒤이어 지방분권 헌법 개정 및 자치권 강화(11.6%), 중앙 부처 및 공공기관 지방 이전(11.2%), 그 외 과제(9.1%), 초광역권 메가시티 구축 및 교통망 확충(8.0%), 잘 모름(4.5%), 지역 거점 국립대학 육성(3.0%)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 전 권역과 모든 세대에서 ‘기업 이전 유도 및 일자리 창출’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를 지지하는 모든 유권자가 ‘기업 이전과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부산 시민은 세대, 거주지, 이념에 상관없이 지역 일자리 문제가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부산은 심각한 고령화와 함께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청년 인구의 타 시도 유출이 두드러진다. 매출액 기준으로 전국 100대 기업에 속하는 부산 기업은 한 곳도 없다. 청년이 일할 기업이 부족하니 대한민국의 양대 도시라고 불리는 부산마저 소멸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대선주자들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부산 공약으로 기업 이전과 일자리 창출을 앞세우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HMM 부산 이전을 약속했다. HMM 등 해운·물류 대기업의 본사 이전도 함께 추진해 해양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김문수 후보는 KDB산업은행을 비롯한 국책은행 부산 이전을 공약했다. 이와 함께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역에 이양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준석 후보는 규제 완화를 통한 금융 기업을 유치해 부산을 아시아 금융 허브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차기 대통령 누가 되더라도 지역 일자리 창출이라는 공약 이행 여부에 따라 부산 시민의 정부 지지도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는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24~25일 이틀간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유권자 80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무선 100%) 가상번호를 활용해 피조사자를 선정한 후 무선 ARS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가중값산출과적용 방법은 올해 4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셀가중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포인트다. 응답률은 6.9%로 조사 결과는 SPSS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