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정권 교체” 51.1%, 경남 “정권 연장” 46.4% [부산일보 여론조사]
경남서도 교체론 vs 연장론 팽팽
울산 유권자들은 ‘정권 교체’를, 경남 유권자들은 ‘정권 연장’을 바라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정권 연장에 힘을 실은 경남에서도 ‘정권 연장’과 ‘정권 교체’ 응답 차가 오차범위 내로 붙어있어, 울산과 경남 두 지역 모두에서 정권 교체론이 팽배해졌다고 해석된다.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24~25일 울산과 경남 만 18세 이상 유권자 각 802명, 803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P))를 진행한 결과, 울산에서는 ‘정권 교체를 위해 기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51.1%로 ‘정권 연장론’(40.2%)보다 높았다. 경남은 달랐다. 경남의 경우 ‘정권 연장을 위해 기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이 46.4%로 ‘정권 교체론’(44.9%)보다 더 앞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경남은 1.5%P 오차범위 내 격차로 ‘정권 연장론’이 가까스로 우위를 점한 데 반해 울산은 10.9%P 격차로 정권 교체론이 크게 앞서나가 양 지역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사실상 압도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울산은 ‘정권 교체론’을 남성(51.9%)과 여성(50.2%) 모두 더 많이 지지하는데 반해, 경남은 성별에 따라 이번 대선의 성격을 다르게 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경남에서는 ‘정권 연장’을 택한 남성(49.9%)이 여성(42.7%)에 비해 더 많았다. ‘정권 교체’ 여론은 여성(49.3%)이 남성(40.6%)보다 높게 나왔다.
연령별로는 경남과 울산 공통적으로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정권 연장’에 힘을 실었고 그 외 대다수 연령층에서 ‘정권 교체’에 목소리 냈다. 다만 경남의 30대는 60세 이상 연령층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정권 연장’ 여론이 더 높게 집계된 연령대였다. 경남의 30대는 43%가 정권 연장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답했고, 40.7%가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울산과 경남 모두 본인의 정치 이념을 ‘중도층’이라고 답한 응답자 과반이 ‘정권 교체’를 택했다. 울산은 중도층 57.1%가, 경남은 중도층 중 53%가 정권 교체를 택했다. 중도층 가운데 ‘정권 연장’을 택한 응답자는 울산 33.6%, 경남 37.2%였다.
투표 참여 의향의 경우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유권자 비율이 울산 93.1%, 경남 93.6%로 드러나는 등 울산과 경남 유권자들의 강한 투표 의지가 공통적으로 확인됐다.
여론조사는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24~25일 울산과 경남 만 18세 이상 유권자 각 802명, 803명(응답률 울산 7.8%, 경남 7.5%)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무선 100%) 가상번호를 활용해 피조사자를 선정한 후 ARS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