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후보들 부울경 공약 꼼꼼히 따져 투표해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더는 정치적 수단으로 소모돼서는 안 돼
유권자, 실현 가능한지 냉정하게 판단을

제 21대 대통령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1일 서울 시내에 선거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제 21대 대통령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1일 서울 시내에 선거 현수막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대선에서도 부산, 울산, 경남은 여전히 핵심 승부처다. 후보들은 부울경 표심을 잡기 위해 막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 가덕신공항 책임 완공, 산업은행 이전과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나아가 북항 야구장 건립까지 부산의 주요 현안들도 대거 대선 후보들의 공약에 들어있다. 공약의 양만 보면 어느 때보다 풍성해 보인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현실성과 진정성이 결여된 표심 겨냥용 약속도 적지 않다. 이미 수차례 반복된 공약도 있고 실현 가능성과 무관하게 던진 선언적 발언도 많다. 이제 더는 공약(公約)이라는 단어가 부울경 시민의 기억 속에 헛된 약속(空約)으로 남겨져서는 안 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최근까지 부산 민심과 다소 거리를 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해양수산부 이전, 동남투자은행 설립, 북극항로 성장 거점화, 가덕신공항 책임 완공 등 지역 맞춤형 공약을 잇따라 내놓으며 국면 전환에 나섰다. 이 중 동남투자은행 설립은 산은 부산 이전 논란을 우회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금융 집중 해소와 산업 전환 지원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구체적인 법률 설계나 재정 조달 방안 없이 돌연 제시된 만큼 진정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선거 막판 민심 달래기용이라는 비판을 피하려면,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로드맵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비교적 전통적인 부산 현안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과 산은 이전 등은 오랜 지역 숙원을 정면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들 공약은 제도적 장벽, 정치권의 반대, 여소야대 국면이라는 현실 속에서 실현 가능성에 제약이 크다. 산은 이전의 경우 앞서 노조 반발 등으로 중단된 바 있어 이를 돌파할 구체적인 전략이 안 보인다는 게 아쉽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북항 야구장과 복합리조트 등 창의적인 공약으로 눈길을 끌지만,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재정 조달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 그럼에도 변화와 혁신을 갈망하는 지역 민심의 틈새를 파고든 전략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부울경 유권자들은 그동안 수많은 선거를 거치며 화려한 공약들을 숱하게 들어왔다. 그러나 그중 상당수는 실현되지 않았고 일부는 선거가 끝나면 흔적조차 없이 사라졌다. 이제 필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실행이다. 선거는 약속을 걸고 책임을 묻는 유권자의 권한 행사다. 이번 대선에서는 각 후보의 공약이 실현 가능한 정책인지 지역을 위한 진정한 약속인지 유권자 스스로 면밀히 따져보고 판단해야 한다. 가덕신공항이나 산은 이전 같은 과제들이 더는 정치적 수단으로 소모되어서는 안 된다. 유권자들은 이제 단호하게 묻고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말뿐인 공약이 아닌, 실제 삶을 바꿀 약속에 표를 던져야 할 때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