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신공항 공기 논란하지 말고 우선 발주부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공사 빨리 선정 착공 최대한 앞당겨야
새 대통령 신속한 사업 추진 약속 이행을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가덕신공항이 들어설 부산 강서구 가덕도 전경. 김경현 기자 view@

가덕신공항은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현대건설의 공사 불참 선언으로 시공사 선정이 원점으로 돌아간 상태다. 당초 계획한 2029년 12월 적기 개항이 불투명해진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가덕신공항의 책임 있는 추진과 신속한 사업 진행을 약속했다. 하지만 새 정부는 아직까지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좌고우면할 시간이 없다. 하루빨리 개항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부산시도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신속한 재발주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적기 착공을 통해 적기 개항을 반드시 이뤄낼 수 있도록 새 정부가 최선을 다해 달라는 주문이다.

부산시는 9일 정부에 제안하는 형식의 입장문을 통해 가덕신공항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서는 당초 정부 입찰 조건인 ‘공사 기간 84개월’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재명 대통령이 가덕신공항의 차질 없는 사업 추진을 약속한 만큼 가덕신공항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명시, 신속한 재발주를 통해 실질적인 착공이 조속한 시간 내에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공 과정에서 지반 등에 불가피한 여건 변화가 발생한다면 공기 연장도 수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를 위해 시와 정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3자가 참여하는 ‘합동 기술위원회’ 구성도 제안했다. 이제는 정부가 답을 할 차례다.

동남권 주민들의 염원인 가덕신공항은 현대건설이 기본설계안 중 공사 기간을 입찰 공고에서 제시한 84개월이 아니라 108개월로 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수의계약 중단 사태를 맞았다. 전 정부의 책임 회피와 시공사의 무성의가 맞물리면서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은 위태로운 국면을 맞았다. 시공사 선정이 시급한 상황이다. 가덕신공항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국가 전략적 인프라이다. 활주로 2본 건설과 거점 항공사 육성 등도 절실하다. 일단 재발주를 서둘러야 한다. 착공한 뒤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합동 기술위원회 등을 통해 유연하게 대응하면 될 일이다.

가덕신공항 2029년 개항 약속은 부산과 국가 미래를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가덕신공항 사업은 그동안 입지 선정에서부터 특별법 제정, 기본계획 수립까지 모든 과정에서 초당적 협력으로 추진됐다. 정치적 이해타산을 이유로 좌지우지할 사안이 아닌 것이다. 더욱이 가덕신공항은 동남권 주민들의 간절한 염원을 담은 숙원 사업이다. 새 대통령과 정부는 가덕신공항 적기 착공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동남권에 대한 애정이 진심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 부산시도 입장문을 발표하는 데 그치지 말고 가덕신공항 사업 정상화를 위해 새 정부와 더 긴밀히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