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키워 지방소멸 해결” 대통령 공언에 부산 벤처 기대감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0조 규모 벤처투자 시장 창출"
이 대통령, 후보자 시절 강조
모태펀드·지역성장펀드 확대로
지역 투자 생태계 활성화 예상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 전인 지난 4월 서울 강남구의 스타트업 ‘퓨리오사AI’를 방문한 모습.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 전인 지난 4월 서울 강남구의 스타트업 ‘퓨리오사AI’를 방문한 모습.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벤처투자 시장을 40조 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약속하면서 벤처·스타트업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방소멸 대응의 일환으로 비수도권 지역의 벤처 투자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히면서, 자금 조달이 막힌 부산 벤처·스타트업 생태계가 활기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이 대통령은 지방소멸 대응 방안 중 하나로 벤처·스타트업을 주목했다. 후보자 신분이던 지난달 17일 이재명 대통령은 SNS 등을 통해 40조 원 규모의 벤처투자 시장을 창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수도권에 집중된 스타트업 자원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밝히면서, 부산의 벤처·스타트업계가 이번 정부의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부산 지역 벤처투자는 매년 소폭 늘고는 있지만, 전국 비율은 2.8%에 그친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투자 실적은 2018년 309억 원에서 매년 증가해 2023년 1241억 원, 지난해엔 1842억 원을 기록했다. 투자액의 전국 비중은 2018년 0.9%에서 해마다 커져 지난해 2.8%를 기록했다. 하지만 서울 46.4%, 경기 19.5%, 대전 6.4%와 비교하면 수도권 투자 비율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금액 규모를 보면 서울(3조 787억 원), 경기(1조 2954억 원), 대전(4263억 원)에 이은 4번째이지만, 금액은 1842억 원가량으로 상위 3개 지역과 큰 격차가 나는 상황이다.

수도권에 비해 부산의 투자 규모는 턱없이 부족한 가운데, 이 대통령이 모태펀드의 지방계정 출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히면서 지역의 투자 생태계에도 활력이 돌 것으로 예상된다. 모태펀드 예산을 얼마나 확대할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올해 예산인 1조 원보다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모태펀드 예산이 늘어나게 되면, 비수도권 지역 기업에 출자되는 투자액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부·지자체·금융기관·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지역성장펀드를 확대하고, 팁스(Tips·민간투자 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비수도권 확대를 약속하기도 했다. 아울러 지역 산업 여건을 반영한 ‘스타트업파크’를 조성해 비수도권 창업 생태계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지역 대학과 지식산업센터 등을 R&D 거점으로 키워 창업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의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투자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초기 창업기업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수도권도 투자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인데, 지방은 더 심각하다. 양극화가 더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정부가 지방의 투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펼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공약을 두고 벤처기업협회는 “벤처 씨앗인 창업기업 수가 3년 연속 감소하고 벤처투자 시장이 위축되면서 벤처기업의 영업이익이 사상 최초로 적자로 전환하는 등 벤처를 상징하던 도전과 성장 활력이 사라지고 있다”며 “선거 기간 제시한 벤처·스타트업 분야 공약이 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실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