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vs '안전' 올해 ‘해수욕장 야간 개장’ 운명은?
올여름 '폭염 기승' 예고
강원도 속초, 운영 시간 확대
부산은 사망사고 여파에다
인력 운용 추가 비용 ‘부담감’
입수자 적발 연 1000여 건
"야간 개장 현실화" 목소리도
여름 해수욕장 개장이 임박하면서 ‘야간 개장’ 여부가 전국 해수욕장의 화두로 떠올랐다. 강원도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야간 해수욕장 개장을 적극 추진하는 반면 부산 7대 해수욕장은 야간 개장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부산에서는 야간 해수욕장 입수 적발 건수가 1000건에 육박했는데, 관광 활성화와 안전 확보 차원에서 야간 해수욕장 개장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10일 강원도 속초시에 따르면, 속초시는 다음 달 19일부터 8월 10일까지 23일 동안 야간에도 속초해수욕장을 개장하기로 했다. 전체 600m 길이 해수욕장 중 200m 구간을 오후 9시까지 개장한다.
속초시는 밤에 해수욕장을 찾는 관광객이 많아지면서 2019년부터 야간 해수욕장 운영을 개시했다. 올해는 ‘빛의 바다’란 테마로 500m 길이의 야간 산책로와 가로 70m, 세로 15m 크기의 미디어아트 등으로 야간 해수욕장 개장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수영 구역 안전선에 LED 부표를 띄우고, 안전 요원이 바다에 들어가서 안전 순찰을 하는 등 안전 사고 예방에도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
속초시 관광과 관계자는 “지난해 속초해수욕장 방문객 절반 이상이 야간 해수욕장 기간에 몰렸다”며 “워낙 반응이 좋아서 올해 야간 해수욕장 개장 기간을 좀 더 늘렸다”고 말했다.
반면 부산 7대 해수욕장을 운영하는 5개 지자체(해운대·사하·서·수영구, 기장군)는 올해 야간 해수욕장 개장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에 해운대해수욕장이 야간 개장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2020년 여름부터 코로나 팬데믹 등을 이유로 야간 해수욕장 운영을 중단했다.
이들 지자체는 야간 해수욕장 개장이 어려운 이유를 두고 안전과 비용을 꼽는다. 야간 해수욕장이 개장되면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특히 2021년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중학생 2명이 새벽 4시께 바다에 입수했다가 숨지는 사고가 있었기에 야간 해수욕장에 대한 부담감이 더욱 크다.
비용도 걸림돌이다. 해수욕장 규모에 따라 인력 규모가 다르지만, 야간 해수욕장 개장에는 최소 5명 이상의 민간 안전요원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이 받는 시급 1만 1000원에다 야간 수당으로 1.5배를 받는 것까지 고려하면 최소 수백만 원 이상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는 게 지자체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산 해수욕장에 야간 입수 사례는 속출하는 실정이다.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 6월부터 8월 말까지 부산 7대 해수욕장 야간 입수 적발 건수는 모두 983건이었다. 해운대, 송정해수욕장에서 457건, 광안리해수욕장에서 425건이 적발됐다.
주요 관광지와 맞닿아 있는 해수욕장에서 야간 입수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야간 입수 직전에 제지했거나 단속되지 않은 사례까지 고려하면 매년 1000건이 넘는 야간 입수가 부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매년 열대야 수가 늘어나는 것도 야간 입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지난해 부산 열대야는 55일 발생했는데, 그 직전 해인 2023년 열대야 일수(27일)와 비교해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야간 입수가 늘어나는 만큼 야간 해수욕장 개장 논의가 현실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충분한 안전 통제 속에서 야간 해수욕장을 개장하면 야간 관광 촉진과 더불어 해수욕장 주변 상권도 활성화할 수 있다는 논리다.
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오창호 교수는 “야간 관광으로의 전환은 관광객 체류, 궁극적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기에 매우 중요하다”며 “호주 시드니 쿠지비치의 자연 풀장처럼 해수욕장 일부 공간에 안전한 해수욕 공간을 만들면 부산 관광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