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진화 장비도 성능 미흡 우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남도, 16억 원 투입 전면 교체 방침
방염기준 예전과 동일 뒷말 무성

지난 3월 사망한 진화대원의 방염 헬멧. 고열에 녹아 식별이 어려울 정도다. 독자 제공 지난 3월 사망한 진화대원의 방염 헬멧. 고열에 녹아 식별이 어려울 정도다. 독자 제공

경남 산청·하동 산불 당시 현장에 투입된 산불 진화 대원 등 4명이 사망한 지 세 달이 지났다. 그간 경남도는 예산을 투입해 진화대 장비를 전면 교체할 계획이나, 방염 기준이 종전과 동일한 장비를 재차 구매할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3월 21일 발생한 산불로 경남도에서는 산불 진화 대원 3명과 이들을 인솔하던 공무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사망자들이 입고 있던 방염복·헬멧 등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고온에 녹아내렸다.

사고 이후 경남도는 국비와 도시 16억 원을 투입해 산불 진화 장비를 구매할 예정이다. 3억 8500만 원으로 등짐 펌프와 방염텐트 등 장비 세트 1385개를 사들일 계획이다. 현재 경남도 진화 대원 수는 1060여 명이다. 산불 대응에 투입되는 담당 공무원들 몫까지 준비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새로 매입한 방염복 등 진화 장비에도 부실했던 기존 기준이 그대로 적용된다. 방염복은 소방복과 비교해 복사열 통과량이 배 이상 차이를 보인다. 산림청 측은 “산불진화대는 높은 곳을 올라가야 하기에 기동성이 우선이라 안전성이 조금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투입된 예산 대부분이 차량과 텐트 등 지휘본부에 투입되는 점도 뒷말을 낳는다. 경남도는 예산 12억 7000만 원을 산불 지휘차량과 지휘본부용 에어텐트를 구입하는데 사용할 방침이다.

경남도는 이에 대해 “진화 장비는 아니지만 현장에 필수적인 컨트롤타워”라며 “꾸준히 예산이 투입되는 개인 장비와 달리 지휘본부 장비 예산은 일회성에 그친다"라고 답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