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정치권 지역신문 살리기 나섰다
부산·울산·경남(PK) 정치권이 경기침체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방신문 살리기에 발벗고 나섰다.
일부 거대 중앙 언론사의 무차별적 금품공세로 지방신문이 고사될 경우 지역민의 입장을 대변하고 지역의 사정을 제대로 전달하는 창구가 사라진다는 위기의식이 PK 정치권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진복·조경태 신문고시 지키기
허태열 최고위회의서 문제 제기
허원제 지역신문 지원법 발의
최구식 경품제공금지규정 존치
PK 정치권의 '어른'인 김형오 국회의장의 행보는 구체적이고 적극적이다. 지금은 미디어법 처리 따른 후폭풍으로 정치적 행보를 자제하고 있지만 앞으로 지방신문 구독운동을 본격 전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장실의 한 관계자는 "어떤 형식으로든 지방신문 살리기 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를 피감기관으로 두고 있는 국회 정무위 소속 의원들은 무가지와 경품을 합친 금액이 연간 구독료의 20%를 넘지 못하도록 한 신문고시 존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나라당 이진복 의원은 최근 서동원 공정위 부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지방언론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신문고시 폐지는 절대 안된다"고 강조한데 이어 조만간 신임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에게도 같은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같은 당 허태열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무위 소속 민주당 조경태 의원은 "지방언론과 시민단체의 뜻에 반하는 신문고시 폐지는 안된다"며 "신임 공정위원장과의 상견례 때나 정기국회에서 다른 지역구 의원들과 연대해 강력하게 문제제기 할 것"이라고 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속 한나라당 허원제 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9월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역신문의 건전한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법의 유효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했다.
같은 문방위 소속 최구식 의원은 정부가 '신문사업자는 구독자의 의사에 반하여 구독계약을 체결·연장·해지하거나 불공정 거래행위에 해당하는 무가지 및 무상의 경품을 제공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한 신문법 10조2항을 삭제하려고 하자 "지방신문을 죽일 셈이냐"고 강력하게 항의해 그대로 존치시켰다.
PK 정치권은 한결같이 "가뜩이나 지역경제가 어려운데 지방신문의 현실을 외면하는 처사는 용납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권기택 기자 k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