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큼한 초록 여름을 따다
양산 원동의 토종 매실
경남 양산 원동의 매화나무밭은 초록으로 시렸습니다. 눈꽃 같은 매화가 흐드러져 장관을 이루던 봄날의 풍경은 져 버린 꽃잎처럼 가뭇없이 사라졌습니다. 6월의 숲은 올망졸망 열린 초록 매실이 내뿜는 강렬한 색감으로 눈부셨습니다.
팔을 걷어붙인 아빠가 나무 위로 올라갑니다. 장대로 후드득흐드득. "아얏!" 밑에서 주워 담던 아이들은 잘 여문 매실이 머리 위로 비 오듯 떨어지는 바람에 혼쭐이 납니다. 금세 한 바구니 가득 채워지니 힘들 겨를도 없습니다. 영차! 10㎏짜리 그물자루도 번쩍 들어 올립니다. 꽃샘추위 탓에 수확량이 줄어들까 노심초사인 걸 아는지 모르는지 아이들은 신이 났습니다.
휴일인 지난 9일, 토종 매실의 산지인 경남 양산시 원동면 화제리 매실 수확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개량종에 비해 크기가 작지만 효능이 좋다고 알려진 원동 매실을 수확하러 간 참이었습니다.
이날 가족을 데리고 매실을 따러 간 건 이번엔 제대로 매실액을 담가 보자고 작정해서입니다.
몇 해 전에 매실액을 담그면서 설탕을 대충 적게 섞고 밀봉한 게 화근이었지요. 부글거리며 거품이 너무 올라오는 것 같아 설탕을 더 집어 넣는 것으로 응급처방했습니다. 100일 뒤 과육을 꺼내고 얻은 매실액은 페트병에 담아 해를 넘기며 보관 중인데, '제대로 발효된 게 맞나?' '오래 둘수록 좋아지나?' 등의 궁금증이 가시지 않습니다. 부르는 이름도 헛갈립니다. 매실청, 진액, 추출액, 농축액, 엑기스, 효소…. 게다가 추가 발효로 매실 와인이나 식초도 만든다니, 뭐가 뭔지 도통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