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색다르게 만나는 남도 풍경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목포 해상케이블카·신안 12사도 순례길

같은 풍경도 눈높이가 달라지면 다르게 보이고, 속도를 늦추면 다르게 감각된다. 전남 목포의 목포해상케이블카와 신안의 12사도 순례길은 그렇게 남도의 풍경 한 자락을 새롭게 여행자 앞에 가져다놓는다. 두 곳 모두 개통한 지 2년 안팎의 신상 명소다. 시야를 멀리 두게 하고 붕 뜬 마음은 차분하게 하니 1년을 마무리하는 12월의 여행지로도 더할 나위 없다.


3.23km 길이 44분간 느긋하게 왕복
목포항·유달산 기암괴석·다도해 비경
승하차 자유로운 승강장 3곳도 매력

■높은 곳을 날다…목포해상케이블카

목포해상케이블카는 올 10월 강원도 춘천 삼악산 호수 케이블카가 370m 더 긴 코스로 개통하기 직전까지 국내 최장 케이블카 타이틀을 갖고 있었다. 운행 거리 3.23km. 북항과 유달산, 고하도에 3개 승강장을 두고 산과 바다, 도심을 모두 지난다. 2019년 9월 개통해 한 달에 20만 명씩 관광객을 모으다가 코로나 탓에 주춤했다 한다. 11월의 마지막 주 찾아간 북항승강장은 평일인데도 다시 사람들로 북적였다.

캐빈은 10명 정원으로 큼직하지만 방역 관리를 위해 일행 단위로만 태운다. 북항을 출발한 캐빈은 목포항과 시가지를 발 밑에 두고 유달산의 기암괴석을 향해 간다. 중간 유달산 승강장에 내렸다 탈 수도 있지만 일단은 고하도 승강장까지 곧장 가기로 한다. 캐빈은 유달산 상공에서 ㄱ자로 꺾은 뒤 해상 구간에 접어든다. 바닥이 투명 강화유리로 된 크리스탈 캐빈의 매력이 십분 발휘되는 구간이다.

목포 남쪽 해안을 감싸듯 기다랗게 누운 섬 고하도는 좀처럼 가까워지지 않는다. 해상 구간이 820m나 이어지기 때문이다. 원경으로 멀찍이 물러나는 시가지와 아찔한 낙차의 바다는 가장 높은 타워가 155m나 된다는 높이를 실감하게 한다. 시간대가 맞으면 목포여객선터미널에서 출발해 흑산도나 홍도 같은 섬으로 가는 배들이 캐빈 아래로 물살을 가르고 지나간다.

반달 같기도 하고 긴 칼 같기도 한 고하도에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22분. 거리가 긴 만큼 느긋이 전망을 감상할 시간도 충분하다. 오래된 항구 도시와 목포의 자랑 유달산과 섬들이 흩뿌려진 다도해의 비경이 앞뒤 양옆과 바닥의 통유리창으로 쏟아져들어와 지루할 틈은 없다. 목포 북항과 고하도를 잇는 총 길이 4129km의 목포대교도 내내 시야에 걸린다.

목포해상케이블카의 매력은 운행 구간의 다채로운 전망뿐 아니라 각 승강장에도 있다. 고하도 승강장에서는 용머리 둘레길로 고하도 전망대까지 550m 정도를 오르거나 1.8km 길이 해상 해안덱길로 걷는 두 가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고하도 전망대 옥상의 시야는 5층 계단을 올라가는 수고에 값한다. 케이블카와 목포대교와 반달 모양 고하도의 윤곽을 따르는 덱길이 하늘과 바다를 조화롭게 분할한다.

다음은 유달산 승강장을 즐길 차례다. 반대 방향 케이블카를 타고 유달산 승강장에 내린 뒤 나무 계단길을 따라 10분 정도만 오르면 사방이 탁 트인 마당바위다. 높이 228m에 불과하지만 정상 일등바위와 이등바위 같은 기암괴석의 기세는 목포의 영산, 영달산(영혼이 거쳐가는 산) 같은 명성에 걸맞다. 산 아래 장난감 같은 집들 위로 선명한 빨간색 캐빈 두 대가 교차하는 순간은 찍지 않고는 지나치기 어렵다.

북항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해질녘이라면 가장 완벽한 타이밍을 고른 것이다. 바다가 해를 삼킨 뒤에도 낙조는 한참 동안 하늘과 바다를 물들이다 서서히 어둠에 자리를 내준다. 목포대교와 도시의 집들도 불을 밝힌다. 편도와 왕복 탑승권 모두 유달산 승강장에서 자유롭게 승·하차가 가능하다. 오전 고하도 승강장에서 편도로 탑승하면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고 북항 승강장에서 시내 관광을 이어 하기에도 편하다.


작은 섬 5곳에 만든 작은 예배당 12곳
빗장·울타리 없이 개성 있는 공공건축
갯벌·호수 등 자연과 어우러진 미학도

■낮은 곳을 걷다…신안 12사도 순례길

목포와 이웃한 신안군은 서울 면적 22배의 바다에 1025개 섬이 흩뿌려진 섬의 천국이다. 사람이 사는 섬은 72개. 이 중에서도 기점·소악도는 여간한 지도에서는 이름도 찾기 힘든 작은 섬이다. 행정구역은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소기점도와 대기점도, 소악도를 더해봐야 1.35㎢ 면적에 100명 남짓이 사는 섬마을에 12개 ‘예배당’이 ‘12사도 순례길’이라는 이름으로 완성된 것은 지난해 2월이다.

역사적 배경이 있다. 면 중심지 증도는 문준경(1891~1950) 전도사의 순교지다. 그는 한때 이웃이던 인민군에 의해 종교라는 아편을 퍼뜨리는 ‘새끼 많이 깐 씨암탉’으로 몰려 순교했고, 1951년 증도의 부속 섬 병풍도에는 기념교회가 생긴다. 지금도 지역 주민 80%가 기독교인이다. 이름은 예배당이지만 울타리도, 빗장도 없이 소박하게 선 단층 건축물은 10명의 작가가 만든 공공건축미술이자 대상을 따지지 않는 기도의 공간이다.

처음 만나는 예배당은 진섬 노둣길 삼거리의 칭찬의 집(유다)이다. 뾰족지붕 흰 건물에 작고 푸른 창문이 난 건물은 요정이 기도를 드릴 것만 같은 모습이다. 솔숲 언덕의 사랑의 집(시몬)은 개방형 아치를 통해 바다가 건물 안으로 들어온다. 붉은 벽돌과 둥근 첨탑의 지혜의 집(가롯 유다)은 갯벌을 건너 나오는 작은 언덕섬 딴섬에 홀로 유배된 모양새다.

출발지로 돌아와 노둣길을 건너 소악도로 가면 뚝방길 끝에 프로방스풍의 소원의 집(작은 야고보)이 서있다. 곡선 지붕 아래 난 물고기 모양 스테인드글라스 창이 눈길을 끈다. 기쁨의 집(마태오)은 소악도에서 소기점도로 향하는 갯벌 한복판에 있다. 황금빛 지붕은 섬의 특산물인 양파 모양을 본딴 것이다. 소기점도 초원의 흰색 사각형 건물 인연의 집(토마스)을 지나 호수 위에 떠있는 감사의 집(바르톨로메오)은 12개 예배당 중 유일하게 건물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 목조 위의 통유리 조형물은 호수와 하늘, 호수 주변의 갈대와 갯벌까지 반영해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으로 빛난다.

대기점도에는 가장 많은 예배당이 있다. 노둣길 입구의 행복의 집(필립)은 적벽돌과 갯돌, 적삼목을 덧댄 지붕이 날아갈듯 날렵하다. 숲속 언덕에서 그리움의 집(야고보)에 들렀다가 마을 동산으로 내려와 섬에 많은 동물 고양이상이 지키는 생각하는 집(안드레아)을 보고 예배당 내부 창으로 땅을 기증한 주민의 가족 묘가 보이는 생명평화의 집(요한)을 지나면 대기점도 선착장에 등대처럼 선 건강의 집(베드로)이 마지막이다.

모든 예배당은 두세 명이 들어가면 어깨가 부딪힐 정도로 작다. 내부의 창으로 만나는 바다와 갯벌, 저수지와 숲의 풍경에 어지러운 마음에도 고요함이 깃든다. 각 예배당 사이 거리는 300m에서 1.2km까지, 12곳을 연결하면 12km 길이다. 걸어서 보려면 넉넉히 세 시간 이상이 걸리니 돌아오는 배 시간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글·사진=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