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조기 개항 공감대 속 ‘플로팅 공법’ 부상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유식 건설 땐 공기 단축 유리
엑스포 이전 2028년 개항 가능”
국회 정책 토론회서 ‘화두’ 등장
국토부 “충분히 검토” 전향적 태도
일각 “신중한 접근” 우려 목소리

신공항 건설이 추진되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아래는 부산항신항. 부산일보DB 신공항 건설이 추진되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아래는 부산항신항. 부산일보DB

 2030부산세계박람회(부산월드엑스포) 성공 개최와 부산 대개조의 핵심 인프라인 가덕신공항의 조기 개항이 정부 차원의 화두로 떠오른 상황에서 부산시가 대안으로 미는 세계 최초의 ‘바다 위 공항’인 부유식 공항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기존 매립식 공항을 고수해온 국토교통부는 신중론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히 검토하겠다”는 쪽으로 다소 열린 태도를 보인다. 시와 지역 정치권의 논리와 설득력이 더 중요해졌다는 지적이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덕신공항 조기 완공을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의 화두는 단연 부유식 공항을 짓기 위한 ‘플로팅 공법’의 현실화 가능성이었다. 토론자로 나선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을 지낸 엄항섭 올시데이터 대표는 “최근 10년 사이에 해양구조물 분야에서 신기술이 엄청나게 개발됐다”며 “가덕신공항 규모는 안전과 환경 문제 없이 부유식으로 짓는 데 기술적인 문제는 전혀 없다”고 자신했다.

 그는 가덕신공항이 외해에 노출돼 태풍의 길목이란 우려와 관련, 최근 제주 인근에 상륙한 300개의 태풍을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서 “최대 유의 파고(가장 높은 파고부터 3분의 1에 해당하는 파고의 평균 값)는 8.5m로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 설계할 때 충분히 버틸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풍속에 대해서도 “우리나라 태풍 최대 풍속은 초속 60m로 다른 해양구조물이 설치된 환경과 비슷하다”며 태풍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덕신공항 공기 단축 방안으로 해저면을 장력 파이프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연결해 고정시키고 부력을 이용해 수면에 띄우는 ‘부체식 공항’을 제안했다. 이는 심해 석유나 가스 자원을 채취하는 시추플랫폼에 일찍이 적용돼온 검증된 기술이라는 점에서다. 엄 대표는 “(시추플랫폼의 경우)3000m 수심이지만 (구조물은)0.15%밖에 안 움직인다. 우리나라에서 해외에 2기를 인도했고, 포스코에서 이미 실험을 마쳤다”며 부유 활주로라 항공기 안전에 이상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를 일축했다.

 엄 대표는 부체식으로 가덕신공항을 건설할 경우 비용은 약 3조 원가량이며, 설계 기간 1년, 건조 기간 3년 등을 걸쳐 이르면 2028년께는 개항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했다.

 반면 한국해양대 송화철 교수는 “부유식 플로팅 선박 플랜트를 1998년도부터 연구해 왔는데, 조금 신중하게 접근을 해야하는 것이 아닌가”라면서 “배와 공항은 다르다. (가덕신공항은)작은 규모가 아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요소를 정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안전을 이유로 플로팅 방식에 방어적인 태도를 보여온 국토부는 일단 제안된 모든 방안을 검토해 최적의 수를 찾는다는 원론적인 입장이다. 토론회에 참석한 국토부 이상헌 가덕신공항건립추진단장은 “부유식 공법을 포함해 공기 단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기본계획 용역 과정에서 충분히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가덕신공항 사타를 거쳐 기본계획 용역이 시작된 상황에서 세계 최초의 공법을 도입하려는 시의 접근 방식이 다소 안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시는 이날 엄 대표의 플로팅 공법 주제발표 내용에 대해 ‘개인 의견’이라고 소개했다. 이에 이 단장은 “시가 부유식 공항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정리해 제출해주면 좋겠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여야 간에도 미묘한 시각 차가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토론회 축사에서도 “조금 더 혁신적, 미래지향적인 그야말로 세계를 앞으로 선도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부유식 공항 추진 의지를 거듭 드러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국토교통위원회 간사인 최인호 의원은 “2029년까지 완공하려면 매립 방식에 대해 빨리 합의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내년 8월까지 진행되는 기본계획용역 기간 부산시와 지역 정치권이 신속하게 건설 방식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국토부의 수용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