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고환율·고금리 ‘삼중고’… 부산 기업 10곳 중 4곳 ‘비상경영’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부 기업 단기 유동성 위험 노출
고물가, 경영 악영향 가장 큰 부담




부산상공회의소의 조사 결과 부산의 주요기업 10곳 중 4곳이 비상경영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상의 제공 부산상공회의소의 조사 결과 부산의 주요기업 10곳 중 4곳이 비상경영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상의 제공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삼중고로 부산의 주요 기업 10곳 중 4곳이 비상경영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4일 부산의 상장사와 매출액 500억 원 이상의 제조·서비스·건설 업체를 상대로 비상경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 중견기업 상당수가 비상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일부는 단기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가장 먼저, 고금리 등 삼중고로 인한 비용 증가와 경기 침체에 따른 유동성 문제로 조사 기업의 84.9%가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경영에 악영향을 끼치는 개별 요인 중 고물가(89.3%)가 가장 많은 부담을 준다고 답했다. 고금리(87.3%), 고환율(78.0%)이 그 뒤를 이었다. 고환율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수출기업에는 고환율이 오히려 환차익을 발생시키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상경영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는 부산에서 비교적 규모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41.1%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조사 기업 중 15.2%는 심지어 ‘단기 유동성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 같은 결과는 잇따른 대기업들의 비상경영 선포로 인한 여파로 보인다. 중소기업과 영세기업은 수주물량 확보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역 경제는 상대적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들 조사 기업들은 비상경영 대응전략으로는 ‘유동성 확보’와 ‘비용 절감’이 각각 30.4%, 27.0%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 외 ‘생산량 조정’ 16.9%, ‘투자 축소’ 14.2%, ‘고용 조정’ 11.5%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는 가장 많은 기업(55.6%)가 대출만기를 연장했다고 밝혔다.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대부분의 기업(82.5%)이 임금 동결보다는 경비 절감을 택했다.

그러나 고용 조정과 관련해서는 채용을 줄이거나 구조조정 등 고강도 대책 수립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고가 장기화될 땐 부산의 채용시장에도 작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의미다.

한편, 경기 침체를 이겨낼 중장기 경영 전략으로 조사 기업의 53.7%는 원가 관리를 통한 경영 안정을 꼽았다. 글로벌 저성장 우려 속에 적극적인 투자보다는 안정적 경영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이다.

부산상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이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통한 유동성 회수에 나서면서 올해 지역 기업은 악재의 최종 기착지인 경기침체와 맞닥뜨려야 한다”며 “고금리로 인한 기업의 유동성 부족이 심화되지 않도록 대출만기 연장 등 정부의 과감한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