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의 진산 금정산, 늦기 전에 국립공원으로
4년째 답보 상태·팔공산보다 뒤져
이해 당사자 강력하게 설득해야
부산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노력이 4년째를 맞고 있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라고 한다. 부산시는 2019년 환경부에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하는 등 대구·경북의 팔공산보다 2년이나 앞서 절차를 밟았으나 팔공산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먼저 이름을 올리게 되는 등 추월 사태마저 빚어지고 있다. 부산시의 안이한 행정 탓으로밖에 볼 수 없는 답답한 상황이다.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2006년 부산연구원의 ‘생태계 통합 관리’ 연구 용역에 이어 자연공원 추진, 2013년 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발족과 10만 명 서명 운동 등 20년 가까이 진행된 부산 시민의 숙원 사업이다.
부산의 진산 금정산은 백두대간 낙동정맥의 마지막 축으로 백양산, 구덕산, 태종대, 황령산, 오륙도, 이기대, 낙동강 하구, 다대포 몰운대 등 산과 바다, 강으로 그 뿌리가 이어진다. 울창한 산림과 다양한 생물 등 풍부한 생태계를 갖춘 부산의 허파이다. 서울의 북한산 국립공원과 비견할 만한 금정산은 2030월드엑스포 유치를 앞둔 부산의 자연환경을 오롯이 표현할 수 있다. 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창건된 선찰대본산 범어사와 18.8㎞에 이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금정산성을 품은 문화재의 보고이기도 하다. 도심 하천인 대천천·온천천의 발원지이고, 아파트 문을 나서면 산의 너른 품에 바로 안길 수 있어 부산 시민의 행복과 밀접한 곳이다.
금쪽같은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지연되는 이유가 사유지 관련 협의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한다. 금정산 국립공원 추진 면적 73.6㎢(부산 58.9㎢, 경남 양산시 14.7㎢) 안에는 사유지가 82%(60.3㎢)에 이른다. 국공유지는 18%(13.3㎢)에 불과해 재산권과 생활권 제약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전체의 8% 면적을 차지하는 범어사와의 협의가 가장 시급하다. 그린벨트에 이어 국립공원 지정까지 이중 규제 우려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해야 한다. 자연 생태계 회복과 국립공원 브랜드에 따른 경제 활성화 효과 등 장점을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범어사 측도 ‘무조건 반대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만큼 부산시의 적극적인 협상력이 절실하다.
환경부의 국립공원 추진 확대는 효과적인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서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국가 차원의 산림 전문가들이 체계적인 생태계 통합 관리를 진행하게 돼 각종 난개발 시도를 체계적으로 막을 수 있다.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환경권 보장 차원에서라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부산시는 “내년 상반기 지정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공언한 만큼 추진 의지를 다져야 한다. 이는 박형준 부산시장의 선거 공약이기도 하다. 부산의 정치권도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촉구한다. 자연 생태계의 보고인 금정산을 제대로 보존해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이 우리의 책무이기 때문이다. 2024년에 전국 24번째 금정산 국립공원이 탄생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