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대병원 파업 장기화, 환자 고통 외면할 건가
암·심뇌혈관질환 등 환자 불편 극심
생명권 차원에서 파업 조기 해결해야
의료인력 확충과 공공의료 강화 등을 내세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의 총파업은 끝났지만, 부산대병원과 양산부산대병원 파업은 12일째 이어지고 있다. 부산대병원 측은 파업 직후부터 입원환자 1500여 명을 퇴원시키거나, 협력병원으로 전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료 축소와 의료 공백으로 암, 심뇌혈관 질환 등 극심한 통증을 겪는 중증 환자의 예약 및 항암 치료·수술까지 밀리면서 고통이 점점 가중되고 있다. 파업 장기화로 다른 병원 의료진의 피로도도 쌓이고 있다. 지역에서 중환자가 가장 밀집한 필수의료거점 기관인 부산대병원의 환자가 자칫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할 경우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할지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노조와 병원 측의 평행선은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물론, 노조가 주장하는 부족한 간호 인력 충원 및 간호사가 의사 업무를 하는 불법의료 근절 등은 환자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조치이다. 적정한 간호 인력 확충 없이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없다는 점은 코로나19 시기를 통해 이미 증명됐기 때문이다. 또한, 전국 14개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노사 양측의 적극적인 협의도 필요해 보인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의료 수준을 높이지 못하면 지역 환자 상당수가 서울 대형병원으로 이동해야 하는 피해를 보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 주민의 건강 및 생명권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하지만, 노조의 요구가 백번 합당하다고 하더라도, 환자 생명을 담보로 한 부산대병원 노조의 파업은 지역 주민과 환자 모두를 피해자로 만들 수밖에 없다.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자칫 ‘정치 파업’이라는 불필요한 논란과 정부의 강경대응 등 상황이 파국으로 치달을 소지마저 크다. 중앙정부는 지역 주민의 건강권과 지역 공공의료·인력 확충 차원에서 부산대병원에 예산을 충분히 배정하는 등 현실적인 대책을 놓고 사태 해결에 진지하게 나서야 한다. 부산시도 지금과 같은 ‘강 건너 불구경’ 하는 방관자 자세에서 탈피해야 한다. 시민의 대표 기관으로 권역책임의료기관인 부산대병원에 대한 정부의 예산 확충을 촉구하고, 노조에 파업 중지를 당부하는 등 중재자 역할이 절실하다.
“부산대병원은 지역 최후의 보루다. 파업이 하루빨리 마무리되길 바란다”라는 부산대병원 교수회장의 호소처럼, 노사는 대립이 아니라,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그 어떤 경우라도 지역 주민과 환자의 생명을 볼모로 일방적 파업을 지속한다면 국민 불안과 피해만 가중될 뿐이다. 노사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처우 개선 및 공공의료 확충 방안 등에 대한 현실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 노사 양측은 지금 이 순간에도 생명 유지와 고통 감소를 위해 다른 병원과 의사를 찾아 방황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아픔을 고려해 파업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