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명 숨져도 추모비 하나뿐 [8000 원혼 우키시마호 비극 ③]
③ 놓쳐 버린 기억들
1945년 8월 24일. 해방의 기쁨도 잠시, 강제동원 한국인을 태운 귀국선 ‘우키시마호’가 일본 마이즈루항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4730t급 거함은 돌연 뱃머리를 돌려 그곳으로 향했고, 의문의 폭발과 함께 사라졌다.
그토록 그리던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채 수천 명의 한국인이 수장됐다. 일본이 발표한 한국인 공식 사망자는 524명. <부산일보>와 <서일본신문>은 우키시마호폭침진상규명회 및 옛 오미나토 해군시설부의 우키시마호 희생자 명단을 각각 단독 입수해 번역했다. 1950년 일본 외무성 기록문서인 ‘우키시마호 인양요청서’에 따르면 배 탑승 인원은 8000여 명이었다.
2023년 8월 8일. 78년이 흘렀지만 그들은 죽어서도 고향을 찾지 못한다. 배는 고철로 팔렸고, 대부분의 유해는 주변에 집단 매장되거나 바닷속에 잠겼다. 50년 전 각계의 노력 끝에 국내로 반환된 유골조차 뿔뿔이 흩어졌다.
<부산일보>는 자매지 <서일본신문>과 한일 지역언론사 최초의 공동기획으로 일본에 남은 유골을 되찾고 ‘잊힐 위기’에 놓인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기록을 남긴다. 이미 봉환된 유골도 한데 모아 ‘그날’을 기억할 역사적 공간이 마련되길 바란다. 현 정부의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풀어야 할 실타래다. 목적지 부산항을 향한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항해다.
“제 나이 여든한 살입니다. 죽어서 아버지를 뵈면 적어도 ‘유골은 고국의 금수강산에 모셔뒀습니다’라고 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유족 한영용 씨)
우키시마호 사건은 수천 명의 한국인 강제징용자와 가족이 희생된 참사이지만, 이를 기억하고 추모할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국내 우키시마호 추모비는 부산 남구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7층 야외 추모공원 한쪽에 있다. 2021년 4월 중구 수미르공원에 있던 것을 옮겨왔다. 2005년 제막된 추모비는 가로 160cm, 세로 95cm, 두께 50cm로, 우키시마호 배 모양을 형상화했다. 추모비 중간 부분에는 여러 개의 쇠 막대가 꽂혀 있고, 그 위로 2개의 돌이 박혔다. 한일문화연구소에 따르면 돌은 폭발물을 뜻한다. 우키시마호가 내부 폭발물에 의해 고의 폭침됐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키시마호 사건을 추모할 공간은 사실상 이곳이 전부다. 폭발물을 뜻하는 돌은 여러 개가 빠진 상태이며, 주변에 추모비에 대한 안내나 설명이 제대로 돼 있지 않다. 일반인뿐 아니라 유족조차 이곳에 추모비가 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한다.
한일문화연구소 김문길 소장은 “우키시마호 사건은 역사의 한 장을 기록할 정도의 큰 참사로, 내실 있는 추모 공간이 필요하다”면서 “현 추모비도 다른 강제징용자 추모탑이 있는 곳으로 옮겨 많은 시민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국내보다 오히려 우키시마호가 침몰한 일본 마이즈루 일대의 추모 열기가 더 뜨겁다. 1964년부터 희생자 추모제가 매년 열린다. 1978년에는 마이즈루 시민 모금과 교토부·마이즈루시 지원금을 통해 우키시마호 폭침을 알리는 대형 추모비와 공원이 침몰지 인근에 설치됐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