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교단… 교권 회복으로 교육 바로 세워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교사 10명 중 8명 사직·이직 고민
교육부 교권보호 대책 적극 시행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숨진 뒤 교권 회복을 요구하는 교사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교사들의 집회. 연합뉴스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숨진 뒤 교권 회복을 요구하는 교사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교사들의 집회. 연합뉴스

교사들의 한숨 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단이 붕괴되고 있다는 것은 최근 한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적 선택으로 표면화 됐을 뿐 오래전부터 계속적으로 지적돼 왔던 사실이다.

실제로 교사 10명 중 8명 이상이 최근 1년 사이 사직이나 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고 한다. 지난 5월 스승의 날을 맞아 한 교원단체에서 교사 1만 137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다. 이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은 적이 있다는 교사가 26.6%였다. 아동학대로 신고 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도 649명(5.7%)에 달했다. 교육 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 잘 반영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96.3%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교육 정책에 불신을 드러냈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에서는 교권보호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학부모 민원은 교사 대신 학교장이 책임지는 민원응대팀에서 담당한다고 한다.

또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공동으로 ‘민원처리 챗봇’을 개발해 운영한다고 한다. 학생생활지도 고시안을 제정해 학교 현장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장에서 교사들의 학생지도가 아동학대로 신고되는 경우가 있는 만큼 교육 시 교실 밖 분리 방법, 담임교사의 학습생활 규정 등 현장 교사들을 돕는 구체적인 안내 사항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뒤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교육을 바로 세울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교단을 떠나려는 교사들의 마음을 붙잡는 유일한 길이다.

한소은 청소년 시민기자(부산외고2)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