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포스트 이재명’ 논의 탄력 ‘지도부 쇄신론’ 본격화
7개월 앞둔 총선 판도 요동
당분간 강성 지지층 반발 ‘수습 모드’ 예고
친명계 당권 욕심 자칫 분당 사태 우려
신속 당 정비 땐 여권 쇄신 압박 부메랑
내달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 변수 될 듯
결과 따라 이 대표 체제도 국힘도 치명상
21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는 곧 다가올 추석 민심은 물론 7개월 앞으로 다가온 여야의 총선 전략과 지도부 쇄신론 등에 중대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날 체포동의안이 예상 밖 ‘가결’로 결론이 나면서 이 대표 체제 쇄신을 둘러싼 당내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 결과에 따라 공천 등 내년 총선 기상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이 대표로서는 향후 구속 여부에 관계없이 전날 병석에서 직접 SNS 메시지를 보내 부결을 호소했는데도 체포동의안이 가결됐다는 점에서 지도력에 상당한 타격을 받는 게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이 대표는 이날 본회의에 앞서 입원 중인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 찾아온 박광온 원내대표에게 “당 운영에 대한 의원들의 우려를 알지만 편향적인 당 운영을 할 의사나 계획이 전혀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또 “총선 태스크포스(TF)도 다양한 의원들로 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한 바 있으니 앞으로의 당 운영에도 다양한 의견을 모아내고 통합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명(친이재명)계 중심의 당 운영에 대한 비명(비이재명)계의 불만에 더해 총선 공천 불안감까지 달래주면서 대표직 유지에 강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박한 메시지에도 상당한 ‘이탈표’가 나온 것는 이 대표 체제로는 총선 승리가 어렵다는 비명계와 중립 지대 의원들의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분간은 이번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를 둘러싼 강성 지지층의 반발 등으로 ‘수습’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 대표의 구속이 확정된다면 ‘포스트 이재명’ 체제 논의가 급속도로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 한 비명계 의원은 강성 친명계 일각의 '구속 시 옥중 공천’ 주장에 대해 “(이 대표가 구속되면)국민 눈에는 당 대표로서의 직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이지 않을 것”이라며 “친명계는 공천을 받아야 하니 당 대표가 구속되지 않기를 바라며 부결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고위원회 등 지도부를 구성하는 친명계 등이 당권을 계속 유지하려고 할 경우 당내 반발이 더 확산되면서 당이 자칫 쪼개지는 사태까지 맞닥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이 경우는 총선을 앞둔 민주당에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실 여권은 ‘불체포특권 포기’를 약속한 이 대표의 체포안 처리를 강하게 압박했지만, 내심으로는 표결이 부결되기를 바라는 기류도 적지 않았다. 일단 민주당에 대한 ‘방탄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끌고 갈 수 있는 데다, 중도 확장성이 제한되면서 지지율 정체 상태인 이 대표 체제가 유지되는 상황이 총선에 보다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만약 민주당이 비상대책위원회 등으로 당 체제를 신속하게 정비하고 중도 확장을 위한 정책 쇄신 등에 나설 경우 30%대 국정지지율에 머무르는 윤석열 정부와 여당에게 국정 운영과 당 쇄신 압박이 되돌아갈 가능성이 적지 않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구속되지 않더라도 오는 12월 말이나 내년 1월 초에 아마 (대표직을)던질 것”이라며 “우리가 먼저 혁신위원회를 띄워 선제적으로, 주도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구속 가능성이 커지자 여권 내부에서도 ‘포스트 이재명’ 체제 출현을 상정한 총선 대응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내달 11일 치러질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 선거 결과가 또 하나의 변수로 거론된다. 이 대표는 이날 강서구청장 선거가 내년 총선의 전초전이라면서 “반드시 이길 수 있도록 당이 힘을 모아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이 강세를 보여온 이 지역에서 패배할 경우, 이 대표 체제는 치명상을 입을 공산이 크다. 반대로 이번 보궐선거를 유발한 김태우 전 구청장을 재공천한 국민의힘 역시 패배 시 내상이 불가피하다. 다만 열세 지역이었다는 점에서 지도부 사퇴론까지 제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