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윤도 OK… 갈라진 국힘 봉합 나선 인요한 혁신위
천하람 영입 시도 등 통합 의지
신당 차단 위해 공천 룰 손볼 수도
당 지도부 “외부 인사라도 수용”
대통령실 “혁신위에 개입 안 해”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회’가 이준석계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 영입을 시도하면서 통합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번 주 혁신위 인선 마무리를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인 위원장의 통합 정신이 ‘과감한 쇄신’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인 위원장은 전날 저녁 천 당협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혁신위원직을 제안했다. 하지만 천 위원장은 지난 ‘최재형 혁신위’ 위원을 맡은 데다 이번 혁신위에 들어갈 경우 “김기현 대표의 임명권을 인정하게 되는 상황”이라고 거절했다. 인 위원장은 여러 인사를 접촉해 26일께 혁신위원 인선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천 위원장 영입은 무산됐지만, 인 위원장이 비윤(비윤석열)계로 분류되는 이준석 전 대표 측의 천 위원장에게 손을 내민 것은 통합과 포용의 메시지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 위원장은 지난 23일 취임 일성으로 “그냥 한 단어로 정의하겠다. 통합을 추진하려고 한다”고 선언했다. 이날 여의도 당사 출근길에서도 인 위원장은 혁신위 인선 방향에 대해 “내 얼굴 자체가 좀 다르지 않나”며 “변화를 상징한다”고 답했다.
혁신안으로 연일 신당 창당 가능성을 흘리는 이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의원 흡수 차원에서 이들을 포용하기 위해 공천 룰 손질 등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권 내에선 두 사람의 향후 행보를 감안해 중도층 확보를 위해서라도 이들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MBC 라디오에 나와 “내 입장에서는 (신당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유승민 전 의원과는 상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유 전 의원도 최근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둔 발언을 하면서 사실상 친윤(친윤석열)계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통합과 포용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이날 “비윤이든, 비윤을 넘어서 당에 대해 아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당 외 인사든,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서 변화를 꾀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누구도 제한이 있을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유 전 의원과 이 전 대표를 비롯해 비윤계로 분류되는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 인사들이 직접 혁신위에 몸담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있다.
대통령실도 인요한 혁신위의 쇄신 자율성과 수평적 당정 관계에 힘을 보태는 모양새다.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우리 측의 공천·당무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수석은 이날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인 위원장 예방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당정 관계 재정립’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대통령실은 행정을 하고 국가 정책을 만드는 곳이지, 당 운영과 관계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수석은 혁신위 활동과 관련한 윤석열 대통령의 당부사항이 있었는지에 대해선 “제가 알기론 없을 것”이라며 “누구를 혁신위원으로 하는지, 몇 명 하는지 전혀 모르고 그런 것에 관여하지 않는다. 할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당내에선 비정치권 인사인 인 위원장이 과감한 혁신을 이뤄낼 것이라는 기대와 형식적인 혁신위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공존한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가장 시급한 건 당 체질 개선과 당정 관계 재정립이다. 이걸 이뤄내지 못하면 인요한 혁신위와 여당은 국민에게서 더욱 멀어질 것”이라며 “정치 역학관계를 잘 모르기에 더욱 과감한 혁신이 가능할 수 있다. 당 쇄신 ‘골든타임’에 맞춰 당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통합을 끌어낼 방책을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