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참사 반복 막아야”… 민주 “진상 규명이 애도”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태원 참사 1주년’ 여야 행보

여, 당정대협의회서 묵념·애도 시간
추모대회 정치 행사로 간주해 불참
윤 대통령 “더 나은 세상 만들 책임”
야 대표들, 추모대회서 정부·여당 성토
민주 “1년 지났지만 책임진 사람 없어
진상 조사 특별법 제정 최선 다하겠다”
정의당 “해결된 것 없는 현실에 먹먹”

10·29 이태원 참사 1주년을 맞은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마련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추모 공간에서 유가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10·29 이태원 참사 1주년을 맞은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마련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추모 공간에서 유가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이태원 참사’ 1주년을 맞아 여야 행보가 엇갈렸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고위당정대협의회 등 내부행사에서 애도의 시간을 갖고 안전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서울광장에서 열린 ‘시민추모대회’에 대거 참여해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 등을 촉구했다.

이날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추모대회에는 민주당 이재명 당대표, 정의당 이정미 당대표 등 야당 대표들이 참석했다. 야당에서는 의원 다수가 참석해 총력 지원에 나섰다. 반면 국민의힘에서는 인요한 혁신위원장과 유의동 정책위의장, 이만희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 이란 대사, 올가 아파나시에바 주한 러시아 영사도 참석했다.

민주당은 이날 참사 책임론을 다시 제기하며 후속 조치를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은 ‘책임은 있는 사람에게 딱딱 물어야’라고 말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책임진 사람은 없다”며 “민주당은 진상 규명이 곧 애도라는 마음으로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1년이 지났지만,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는 지금의 현실이 가슴 먹먹하고 죄스럽다”며 “지금이라도 정부 여당은 10·29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을 통한 제대로 된 진상조사에 적극 협조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추모대회를 ‘정치 행사’로 규정해 김기현 대표가 불참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 정부 주요 인사도 추모대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정부와 여당은 대신 내부행사에서 추모 시간을 가졌다. 정부와 대통령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대협의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복을 빌면서 인파 밀집 사고 등 재발을 막기 위한 안전 대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한 총리와 김 대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 여권 고위 인사들은 이날 검은 정장에 검은 넥타이 차림으로 회의에 참석해 묵념을 통해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 한 총리는 “그간 정부는 이태원 참사와 같은 안타까운 사고가 다시는 발생해선 안 된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위험 예측 시스템을 도입하고 주최자 없는 행사에도 대비하는 등 국민 안전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안타까운 참사의 사전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 또한 오늘 당정협의회의 핵심 과제”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더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야당이 추진하는 이태원 참사 특별법 대신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재난안전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강조했다. 재난안전법은 주최자 없는 축제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민의힘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지난해 12월 제출한 재난안전법은 지난달에야 행안위를 통과했고, 다른 안전 관련 법안도 상임위에 계류돼 발이 묶인 상황”이라며 “1년이 지나도록 지지부진한 부끄러운 현실 앞에 국민의힘이 먼저 반성하겠다. 조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북구 영암교회에서 이태원 참사 추도 예배를 했다. 윤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지난해 오늘은 제가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저와 같은 마음일 것이다.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불의의 사고로 떠난 분들이 사랑했던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에게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