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1,875,600,000,000,000…또 ‘사상 최대’
주담대 17.3조 원 급증…최대 기록
카드 미결제액 2.6조↑…3분기만 반등
부동산 경기 회복·여행 증가 등 영향
4분기도 가계빚 ‘사상 최대’ 경신 전망
1875조 6000억 원. 고금리 환경에도 불구하고 주택 자금 수요가 급증하며 올해 3분기 가계빚이 또 한번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올해 3분기(7~9월)에만 가계 빚은 전 분기보다 14조 원이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75조 6000억 원으로 2분기 말(1861조 3000억 원) 보다 14조 3000억 원(0.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말(1871조 1000억 원)을 웃도는 역대 최대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뜻한다.
가계신용은 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작년 4분기(-3조 6000억 원)와 올해 1분기(-14조 4000억 원) 잇따라 감소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올해 2분기(8조 2000억 원) 반등한 이후 3분기에 다시 정점을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759조 1000억 원으로 2분기 말보다 11조 7000억 원 늘었다. 역시 종전 기록인 작년 2분기를 뛰어넘어 역대 가장 많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049조 1000억 원)이 17조 3000억 원이나 급증하며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잔액 기록을 또 경신했다. 다만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710조 원)은 5조 5000억 원 줄어 8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3분기 가계 판매신용 잔액(116조 6000억 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2조 8000억 원) 위주로 2조 6000억 원 늘었다. 이는 세 분기만의 반등으로 여행·여가 수요가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은 서정석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감소세는 이어졌지만, 주택 경기 회복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판매신용도 세 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전체 가계 신용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4분기에도 가계빚은 사상 최대 기록을 다시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0월 가계대출은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6조 8000억 원 급증했다. 11월 들어서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10월과 비교해 보름 만에 3조 5462억 원이나 불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