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옥 권한대행이 차기 체제 결정
비상대책위 체제 전환 유력
위원장 놓고 대립 치열할 듯
김기현 대표가 13일 대표직을 사퇴하면서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거나 임시전당대회 개최를 통한 새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당 지도부를 새로 구성해야 한다. 당헌에 따라 김 대표가 사퇴하면서 윤재옥 원내대표가 곧바로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윤재옥 당 대표 권한대행은 당 대표가 궐위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임시전당대회를 개최해 당 대표를 다시 선출하거나, 비대위 체제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올린 사퇴 발표 글에서 “이제 총선이 불과 119일 밖에 남지 않았다”면서 “윤재옥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빠르게 안정시켜, 민주당이 다시 의회 권력을 잡는 비극이 재연되지 않도록 저의 견마지로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총선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전당대회를 새로 열기보다 윤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대위 체제 전환에 힘을 실은 것이다. 당내 다수 의원들도 “총선이 불과 몇 달 남은 상황에서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새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안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비대위 체제를 현실적인 방안으로 보고 있다.
당헌에는 △당 대표 사퇴 등 궐위 △선출직 최고위원·청년 최고위원 중 4인 이상의 사퇴 등 궐위 △그 밖에 최고위원회의에서 전원 찬성으로 비대위의 설치를 의결한 경우 비대위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당 대표 궐위 시 선출직 최고위원들의 사퇴 없이도 비대위 체제 전환이 가능하다.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걸쳐 윤 원내대표가 임명한다.
김 대표의 사퇴 가능성이 높아진 이후 여권 내에서는 ‘스타 장관’인 한동훈 법무부장관이나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비대위원장이 될 것이라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이에 대해 이만희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 장관·원 장관의 비대위원장 검토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만약 비대위로 간다면 중도 확장을 할 수 있는 분들,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같은 분도 충분히 (비대위원장)역할을 할 수 있는 분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맡을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비대위원장이 사실상 차기 공천의 향배를 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비윤(비윤석열)계가 또한번 대립할 가능성도 적잖아 보인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