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만 살리는 반도체 블랙홀… 동남권에 전력반도체 인프라를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세계 최대·최고 메가 클러스터
평택·화성 등 경기 남부에 조성
부산 등에 비메모리 지원 필요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도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발벗고 나선 정부가 ‘수도권 반도체 산업 밀어주기’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첨단국가산업 특히, 반도체 산업의 ‘수도권 블랙홀’ 가속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 반도체 블랙홀’에 대한 대안으로 부산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이 강점을 지닌 파워(전력)반도체 분야 등 비메모리 반도체 클러스터가 동남권에 구축되도록 정부가 집중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15일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2047년까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622조 원을 투입하는 경기도 남부 일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에 정부가 패스트트랙 도입 등 총력 지원을 강화하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건설로 650조 원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프라·투자 환경 조성, 반도체 생태계 강화, 초격차 기술 및 인재 확보 등을 발 벗고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가 평택, 화성, 용인, 이천, 안성, 판교, 수원 등 반도체 기업 및 관련 기관이 밀집된 경기 남부 일대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총력 지원하기로 하면서 지역 반도체 인재(인력) 유출과 지역경제 타격이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수도권 반도체 산업 밀어주기’라는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지만, 이에 따른 ‘반도체 산업 지역 불균형’을 막기 위한 대책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지역 반도체 관련 전문가는 “정부가 경기 남부권 일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 사업을 집중 지원함으로써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은 이해가 된다”면서도 “글로벌 초격차 경쟁의 현실을 인정해야 하지만, 수십 년간 유지해 온 ‘수도권 규제’라는 최후의 방어막이 수도권 중심의 메모리 반도체 육성정책으로 말미암아 뚫린 것은 안타깝다. 수도권 규제의 구멍이 뚫린 데 대한 문제 제기는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부산테크노파크 김형균 원장은 “수도권 중심의 메모리 반도체 산업 집중 육성이라는 불가피한 현실을 인정한다면, 비메모리 반도체 특히 파워반도체 분야에 수도권(메모리 반도체 지원대책)에 버금가는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부산 쪽에 이미 형성돼 있는 파워반도체 인프라(부산대의 파워반도체 R&D 센터, 동남권방사선의과학단지 내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와 경남 김해에 만들어질 파워반도체 거점시설을 연계해 동남권 일대를 비메모리 반도체의 새로운 글로벌 클러스터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