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첫발 뗀 시립대학원대학, 첨단 인재 유출 방지가 관건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고급 인력 양성 목표 2029년 개교
졸업 이후 지역 안착 유도할 대책 핵심

부산시가 직접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 첨단산업 인재 육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시립대학원대학’을 건립하기로 했다. 부산역에서 열차 탑승을 기다리는 부산 청년. 부산일보DB 부산시가 직접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 첨단산업 인재 육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시립대학원대학’을 건립하기로 했다. 부산역에서 열차 탑승을 기다리는 부산 청년. 부산일보DB

부산시가 직접 거액의 예산을 투입해 첨단산업 인재 육성과 기업 유치를 위한 ‘시립대학원대학’을 건립하기로 한 것은 지역경제를 이끌 청년 인재의 절대 부족 현상을 이대로 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위기감의 발로로 보인다. 대학원대학은 고등교육법 제30조에 의거해 특정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원만 두는 대학을 말하는데, 시는 이를 통해 부산을 이끌 연구 역량을 지닌 지역 인재를 확보하고 미래 첨단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책 취지로 본다면 부산에서 현재 이보다 더 절실하고 시급한 현안은 찾기 어렵다. 걸음마 단계에 불과해도 기대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시가 밝힌 시립대학원대학의 개교 시점은 2029년 중이다. 그전에 시는 11일 시의회에서 승인받은 대학원대학의 타당성 연구용역을 올해 하반기에 실시하고 이어 기본계획 수립 절차에도 착수한다. 학교 부지는 이미 박영학원·신라대 측과 협의를 통해 신라대 부지 10만여㎡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여기에 본관과 강의동 2동을 신축하고 신라대 제1공학관 일부를 리모델링해 교사로 사용할 계획이다. 건물 신축과 리모델링, 대학 운영비 등에 향후 5년간 1500억 원의 시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빠듯한 시 재정 형편으로는 거액이 아닐 수 없지만 부산의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점에선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성과를 내야 하는 부담은 오롯이 시의 과제다. 청년 인재의 양성과 유출 방지가 지역 미래에 핵심적인 관건이라는 점을 모르는 시민은 없다. 그러나 과연 시립대학원대학의 건립이 맞춤형 해법이 될지는 여전히 알 수 없는 영역이다. 거액의 예산 투입이 무색하게 다른 여느 사업처럼 뚜렷한 성과가 없다면 참으로 무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10일 시의회가 처음 대학원대학 추진 업무협약 동의안에 대해 부결로 제동을 건 것도 이를 우려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대학원대학에 시 예산이 계속 투입돼야 하는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는 지적인데 충분히 제기할 만한 문제다.

시립대학원대학 건립은 이처럼 기대감과 불안감이 뒤섞여 있다. 앞으로 남은 개교 시점까지 시가 얼마나 촘촘한 준비로 대학원대학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느냐가 관건이다. 기존 산학연 관련 협의체 등을 통해 현장에 적합한 석·박사급 커리큘럼을 마련하고 취업·창업 연계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할 것이다. 기껏 키워 놓은 인재가 지역을 떠난다면 대학원대학은 아무 소용이 없다. 첨단산업의 고급 인재라면 더욱 수도권행의 유인이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안 그래도 심각한 지역 청년의 유출 상황을 볼 때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학원대학의 성공 여부 판단도 이를 제외하고는 결코 생각할 수 없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