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 휴진 신고율 저조… 부산 3.3%, 전국 4.02%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6일 부산 의료기관 87곳 신고
시, 부산의료원 연장 진료 예정
정부는 업무개시명령 발령 계획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다만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 분야 진료는 지속한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다만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투석실 등 필수 분야 진료는 지속한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의과대학 교수들이 의대 정원 증원 등에 반발해 18일 전국적인 집단 휴진을 예고하면서 의료계 전반에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실제 휴진 참여율은 저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부산에서는 대상 의료 기관의 3.3%만 하루 병원 문을 닫겠다고 신고했고, 전국적으로도 휴진 신고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시는 의협이 집단 휴진을 결의한 18일 당일 휴진을 신고한 부산 의료 기관은 총 87곳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전체 신고명령 대상 의료 기관 2661곳(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 중 3.3%다. 경남은 1800개 의료 기관 중 202곳(11.2%)이 휴진을 신고했고, 울산도 이날 신고율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적으로는 전체 3만 6371곳 중 1463곳이 당일 휴진을 신고해, 신고율은 4.02%에 불과했다. 이는 2020년 8월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한 의료계 총파업 당시 첫날 동네 병원의 3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휴진율 32.6%)과 비교하면 상당히 저조한 수치다. 신고하지 않고 휴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집단 휴진에 따른 의료 공백 여파가 우려했던 것만큼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의대 교수 참여 규모도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많다. 부산대·동아대 등 부산 4개 의대 교수들이 18일 집단 휴진에 동참하기로 결정했지만, 각 병원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사유로 휴진을 신청할 경우 결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산부인과와 아동병원 등 휴진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단체 등의 선언도 이어지고 있어 의협이 밝힌 ‘역대급 집단 휴진’ 구상이 현실화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사전 휴진 신고율이 한 자릿수로 나타났지만,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18일 전체 의료 기관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16개 구·군과 협력해 18일 집단 휴진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는 등 관련 행정 절차를 이행할 계획이다. 부산의료원은 당일 오후 7시까지 연장 진료를 하고, 16개 구·군 보건소는 오후 8시까지 연장 진료를 할 예정이다. 시는 소아환자 진료 공백 방지를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7곳에도 진료 시간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