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부산대 통합도 중요하지만 데미지 최소화를"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금정구 이준호 시의원, 통합 부산대 출범 이후 상권 붕괴 대책 마련 호소
"연제구로 이동하는 교직원 등 2800여 명 육박... 양산캠퍼스 때도 몸살"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이준호 의원. 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이준호 의원. 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가 부산대와 부산교대의 통합 이후 붕괴가 가속화될 금정구 상권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복지환경위원회 이준호(금정2) 의원은 부산의 교육과 지역 경제가 모두 지켜져야 한다며 통합 부산대 출범 이후 지역 상권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최근 열린 정례회 5분 발언을 통해 “두 대학의 통합으로 인하여 발전을 도모하는 부산시 교육의 중요성에는 찬성한다”면서도 “금정구를 중심으로 한 지역 경제에서 불거질 문제도 적극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두 대학의 통합 계획을 살펴보면 2800여 명의 학생과 교직원이 금정구 소재 부산대학교에서 연제구 부산교대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금정구의 대규모 유동 인구 유출로 직결된다.

앞서 부산대 인근 상권은 2009년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문을 열면서 유동인구가 유출되어 한 차례 몸살을 앓은 바 있다.

현재도 부산대 앞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27.2%로 부산시 평균(7.9%)보다 3배 이상 높다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이 의원은 “앞으로 부산시는 시내 대학의 존폐에 따라 다양한 문제가 파생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면서 “이 같은 변화는 특정 부서의 업무 소관이 아니라 청년부터 경제, 교육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만큼 충분히 소통하고 협업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