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케첩·버거·도넛 등 추석 앞두고 가격 올리는 식품·외식업체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뚜기 후추·케첩 6~15% 올리고
대상 종가 맛김치 7~10% 인상돼
“외식업체 가격 인상 움직임 시작”

다음달 추석을 앞두고 일부 식품업체와 외식업체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견본이 진열돼 있는 모습.(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연합뉴스 다음달 추석을 앞두고 일부 식품업체와 외식업체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견본이 진열돼 있는 모습.(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연합뉴스

다음달 추석을 앞두고 일부 식품업체와 외식업체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카레, 케첩 등 집밥 재료부터 버거, 도넛, 커피 등 외식 메뉴까지 올라 먹거리 물가 부담이 커졌다.

29일 식품·외식업계에 따르면 오뚜기는 오는 30일부터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제품 가격을 최대 15% 올린다.

이에 따라 순후추(50g)는 4845원에서 5560원으로 15% 오르고 토마토케첩(300g)은 1980원에서 2100원으로 6% 인상된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3분카레, 3분 쇠고기카레·짜장 가격은 현재 2000원에서 다음 달 1일부터 2200원으로 10% 오른다.

대상도 9월 1일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김치 제품 가격을 올린다. 종가 맛김치 50g은 1000원에서 1100원으로, 80g짜리 제품은 1500원에서 1600원으로 각각 10%, 7% 오른다.

매일유업은 이달부터 유제품과 컵커피, 주스류 제품 출고가를 최대 11% 올렸다. 아몬드 음료인 아몬드 브리즈 제품군 가격은 5∼11% 올랐고 컵커피 제품인 바리스타룰스는 8∼10% 인상됐다.

코카콜라음료는 다음 달 1일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코카콜라 환타 스프라이트 등 음료 제품 가격을 평균 5% 올린다.

CJ제일제당은 햇반컵반 제품 중 4종을 리뉴얼(새단장)하면서 가격을 올렸다. 흰쌀 햇반을 현미 햇반으로 바꾸면서 편의점 판매가를 4800원으로 600원(14%) 올렸다. 국순당도 백세주를 4년 만에 리뉴얼하고 375㎖ 기준 출고가를 9% 올린다.

외식업계에서도 메뉴 가격을 올렸다. 롯데GRS는 지난 8일 롯데리아 햄버거 가격을 평균 2% 올렸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와 새우버거는 단품 기준 100원 올랐다.

또 같은 날 도넛업체인 크리스피크림도 메뉴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외식기업 더본코리아 산하 브랜드도 가격을 올렸다. 빽보이피자는 지난 13일 일부 피자 메뉴 가격을 평균 1000원씩 올렸고, 빽다방은 23일 아이스티와 미숫가루 가격을 10% 넘게 올렸다.

이 밖에 서울의 일부 냉면집 대표 메뉴인 평양냉면 가격은 1만 7000원까지 올랐고 삼계탕은 2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더해 KFC, 파파이스 등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배달 메뉴의 경우 매장보다 가격을 더 비싸게 받는 이중 가격제를 도입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카레, 김치 등 업계 1위 업체가 하나둘 가격을 올리기 시작한 이상 다른 업체도 줄줄이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외식업계 관계자도 “외식업계에서는 이미 가격 인상 움직임이 시작됐다”며 “특히 프랜차이즈의 경우 배달 중개 수수료 등으로 운영난을 겪는 점주의 가격 인상 요구를 외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