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울 갈 일 없앨 부산대병원 '지역완결형 메디컬센터'
‘아프면 서울로’ 현상 사라지도록
거점국립대병원 기능 구축해야
‘응급실 뺑뺑이’ 등 의료 파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도 비수도권 국민이 ‘빅5’(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로 불리는 서울 대형병원 원정 진료에 한 해 2조 원이 넘는 진료비를 부담하고 있다고 한다. 국회에 따르면 비수도권 환자 3명 중 1명이 수도권 원정 진료를 받고 있다. 필수의료 분야의 지역 격차가 심화된 까닭이다. 비수도권 환자와 가족은 서울로 오가며 써야 하는 교통비, 숙박비 등으로 가계 부담이 크고, 천형처럼 고통을 감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도권 대형병원 주변에는 지방에서 온 환자들이 머무는 ‘환자촌’이 형성됐을 정도이다. 이로 인한 지역 환자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이 같은 의료 격차가 지역소멸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대병원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허브 메디컬센터’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교육부에 신청했다고 한다. 706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2036년 완공을 목표로 세웠다. 가뭄에 단비 같은 소식이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핵심 의무가 지역민에게 필수의료를 적절히 제공하는 공공의료이기 때문이다. 정성운 부산대병원장은 “모든 연령의 시민이 부산을 떠나지 않고 최고의 의료 서비스를 받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한다. 백 번 천 번 동감한다.
이는 정부가 ‘지역완결적 필료’ 확립을 의료개혁의 핵심으로 내세운 후속 조치라는 뜻에서도 의미가 깊다. 사실 부산대병원 응급실은 물리적 한계 때문에 권역응급센터가 아닌 지역응급센터에 머문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미 지난 4월 부산대병원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 서비스 접근권 격차 문제 등을 지적하며 센터 신축 비용 전액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격차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소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서울 원정 진료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거점 국립대병원의 의료 전문 인력 및 첨단 장비 확충 등 대대적인 지원이 필수적인 이유다.
모든 국민이 전국 어디서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권리이다. 이를 위해서는 큰 병에 걸려도 최고 수준과 실력을 갖춘 지역거점 국립대병원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 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거점국립대병원의 의학 교육 및 진료 여건 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다. 이번 부산대병원의 ‘지역완결형 글로벌 허브 메디컬센터 구축’을 계기로 ‘아프면 일단 서울로’라는 말이 사라질 수 있도록 국가의 교육·의료 정책 변화를 촉구한다. KTX를 타고 서울까지 가지 않아도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최고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국가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붓기를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