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도 ‘해외쏠림’… 해외 14배 뛸 때 국내 배 머물러
미 증시 연일 사상 최고가 경신
지배구조 개선·투자자 보호 시급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해외 자산을 기초로 하는 상품에 대한 투자 편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투자 ETF와의 성장 격차가 눈에 띄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실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상장된 ETF 중 해외 자산을 기초로 한 상품 386종의 순자산은 53조 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19년만 해도 해외투자 ETF 상품이 115종, 순자산 3조 7000억 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순자산이 14.4배로 증가했다. 반면 국내 자산을 기초로 한 ETF 상품은 507종, 순자산 106조 1000억 원으로 2019년 335종, 48조 원에 비해 순자산이 2.2배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자산에 대한 관심 확대와 맞물린 현상으로 풀이된다. 올해 들어 미국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안정적인 우상향 흐름을 보이고, 인도 등 신흥국 증시도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증시는 박스권 행보를 보이면서 해외 자산으로 투자처를 옮기는 투자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올해 들어 21.9% 오르고, 인도 증시 대표지수인 센섹스(SENSEX)는 12.6% 상승한 반면 코스피는 2.2% 하락한 상태다.
올해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 상위 20개 ETF 중 국내 자산을 기초로 한 ETF는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등 5개뿐이다.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 중 해외 투자 ETF 비중이 더 큰 곳도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지난 2022년부터 해외 투자 ETF 비중이 국내 투자 ETF를 넘어섰다. 김 의원은 “ETF 시장이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해외 자산을 기초로 한 ETF 투자 증가로 국내 자본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코리아 디스카운트(주식 저평가) 현상에 국내 기업과 경제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의 핵심인 지배구조 개선과 투자자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