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이자 장사’로 배불린 인터넷銀…카카오뱅크 1년 새 5.6조 원 늘려
설립 취지 망각 지적
인뱅 3개 사 11조 원 늘어
카카오뱅크 절반 이상 압도적
김현정 의원 “당국 감독해야”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이 1년 새 11조 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중저신용자 자금 공급이라는 출범 취지를 어기고 손쉬운 이자 장사에 몰두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1년 새 주담대 잔액이 5조 6000억 원이나 급증했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 4000억 원으로, 작년 동월(23조 4000억 원)보다 47%(약 11조 원) 늘었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작년 5월(19조 3000억 원)까지만 하더라도 20조 원을 밑돌았으나, 같은 해 말 26조 6000억 원까지 늘어났고, 올해 2월 30조 5000억 원을 기록하며 30조 원을 돌파했다.
증가세는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담대가 515조 원에서 568조 7000억 원으로 10.4% 늘어난 것과 비교해 훨씬 가파른 것이다. 같은 기간 전체 은행권의 주담대는 655조 4000억 원에서 714조 1000억 원으로 8.9% 늘었다.
은행별로 보면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19조 3000억 원에서 24조 9000억 원으로 5조 6000억 원 늘었다.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4조 1000억 원에서 7조 7000억 원으로 3조 6000억 원 증가했다.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는 토스뱅크의 경우 지난해 9월 출시한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잔액이 올해 8월 기준 1조 8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규모가 급증한 것은 올해 시작된 주담대·전세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서비스에서 낮은 금리로 공격적 영업을 펼친 것이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금융당국이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의존도가 과하다며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자 수익 극대화를 위해 주담대를 꾸준히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인터넷은행들이 ‘신파일러(금융 이력이 적어 대출받기 힘든 사람)’ 대상으로 자금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실 우려는 작고 손쉽게 이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부적절한 영업 행태를 보인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김 의원은 “인터넷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을 급격히 늘리는 것은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